제주 고용동향 ‘시름시름’…적극적 규제완화 필요
제주 고용동향 ‘시름시름’…적극적 규제완화 필요
  • 허태홍 기자
  • 승인 2019.04.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용 악화 원인 건설 불경기
시장친화적 방안 마련 필요

 제주지역 고용동향이 회복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남지역통계청이 10일 발표한 ‘2019년 3월 제주특별자치도 고용동향’에 따르면 제주지역의 고용률과 실업률 모두 전년동월대비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날 발표한 전국 고용동향이 회복세를 보인 것과 상반된다.
 

 ▲고용·실업률 악화, 자영업자 증가

 2019년 3월 제주지역 고용률은 67.5%로 전년 동월대비 1.1% 하락했다. 실업률 또한 2.1%를 기록해 전년동월대비 0.1% 상승하는 등 고용여건이 악화되고 있다. 반면 자영업자는 전년동월대비 5.4% 증가하는 등 고용형태도 경기변동에 취약한 형태로 변하고 있다.

 취업자는 37만 5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5000명(1.4%) 증가했지만 고용률은 하락했다. 그 원인은 취업자수 증가율이 15세이상인구 증가율(3.1%)을 따라가지 못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반면 실업자는 8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000명(8.0%) 증가해 실업률은 전년동월대비 0.1% 상승한 2.1%를 기록했다.

▲고용여건 악화...주된 원인은 ‘건설’

 산업별로 살펴보면 고용여건 악화의 주된 원인은 ‘건설’임을 알 수 있다. 산업별 취업자 현황을 살펴보면 △광공업 2000명(-16.5%) △전기·운수·통신·금융업 2000명(-4.0%) △건설업 1000명(-2.9%) 부문에서 감소율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광공업의 경우 건설경기에 따라 실적이 결정되는 시멘트 제조업 분야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고용동향 회복과 엇박자...규제완화 ‘절실’

 제주지역 고용여건 악화는 회복세를 보인 전국과 다른 양상이다. 부풀어 올랐던 건설경기가 하락하면서 제주지역만의 요인이 작용한 탓으로 풀이된다. ‘일자리 추경’ 등 각종 예산투입을 통한 경기부양에 힘을 쏟았던 제주도정의 노력이 빛을 보지 못하면서 규제완화·감세 등 ‘시장친화적’인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제주도 관계자는 “예산투입만으로 고용여건을 회복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제주도는 특별자치도인 만큼 특유의 사정에 맞게 적절한 규제완화 정책이 병행하는 식의 해법마련이 필요할 것”을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