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를 알기 쉽게!] 본인-대리인문제
[경제용어를 알기 쉽게!] 본인-대리인문제
  • 허태홍 기자
  • 승인 2019.03.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리인 문제란 둘이상의 경제주체간의 관계에서 어느 한 쪽이 다른 한 쪽의 이익을 위해 거래나 계약 등과 같은 행위를 할 때 성립하는 관계를 본인-대리인 관계라고 한다. 그리고 이들 관계에서 대리인이 진정으로 본인을 위해서 행동하는지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를 ‘본인-대리인 문제’라고 한다.

 이러한 ‘본인-대리인 문제’는 특히 주식회사 제도의 운영과 관련하여 중요성이 부각된다. 왜냐하면 주식회사 제도에서 회사의 주주와 경영자는 전형적인 본인-대리인 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대리인인 경영자는 회사의 주인인 주주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아 회사를 잘 운영해 많은 이익을 내야하고 이에 대한 대가로 보수를 받는다. 그런데 주주는 경영자보다 회사의 경영정보를 접하기 어려우며 경영자가 어떤 행동을 하는지도 일일이 감시할 수 없다. 이로 인해 경영자는 주주의 이익보다는 자신의 이익을 위한 행동을 할 가능성이 크다.

 이와 같은 본인-대리인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기업의 회계정보를 의무적으로 공개하거나 중요 결정사항을 공시하도록 만드는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경영자의 긍정적인 행동을 유도하기 위해 스톡옵션 등의 성과급을 활용하기도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