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특별자치도의회가 지난 14일부터 올해 첫 추가경정예산안을 심사하고 있는 가운데 도서지역 헬기 이착륙장 안전시설 설치 사업과 관련해 추진과정 및 절차에 대한 문제점이 지적됐다.
사업내용은 제주도 도서지역 헬기 착륙장 5개소 중 헬기장 조명시설이 없는 마라도, 가파도, 우도 헬기장 시설 보완 및 야간 유도등 설치를 위한 예산 9000만원을 추경했다.
도 의회는 이번 사업을 검토한 결과 소방헬기 관련 업무를 관할하는 소방안전본부가 아닌 안전정책과에서 사업을 추진하는 이유와 도서지역 헬기장 토지소유주들과의 사전협의 절차 없이 예산을 편성한 이유 등에 대해 설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김창선 도 안전정책과 실장은 “사업추진 당시 도민의 전반적인 안전에 관련된 사안이라 우리 부서에서 시행한 것”이며 “오는 5월에 실제 사업을 운용할 소방안전본부로 사업과 예산을 모두 이관할 예정”이라고 해명했다.
또 “가파도와 마라도의 이착륙장의 토지소유 형태는 도로부지와 공유수면”이며 “우도의 경우 마을 주민들과 새로운 장소를 물색해 하우목동항 근처로 이전할 계획”이라고 했다.
한편 해당 마을 주민들은 이번 사업이 추경예산에 편성된 바를 알지 못했으나 주민들이 숙원사업이 올해 안에 추진된다며 반기고 있다.
마라도 주민 김은영(50세, 여)씨는 “그동안 응급환자가 발생해도 유도등이 없어 늦은 시간에는 헬기구조를 받지 못했다”며 “마라도를 방문하는 관광객 중 응급환자가 발생하기도 해 시설보수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헬기장 노면이 포장되지 않아 풀이 자라고 있고 유도등과 헬기장 표시가 없어 위험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