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지유통센터 운영, 도ㆍ농협 등 연계 방안 검토 제시
FTA기금 과수산업지원사업 시행에 따른 도내 감귤 거점산지유통센터의 운영주체를 제주감협과 19개 농협이 공동참여하는 형태로 단일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사)제주감귤협의회의 ‘FTA기금 과수지원사업의 효율적 추진방안 연구 및 조사(사업시행주체 선정 및 거점산지유통센터(APC) 타당성분석 중심)’ 연구용역을 맡은 제주대학교팀은 20일 최종용역보고서에서 현재 감귤협동조합만 거점APC 지원대상조직으로 선정됐지만 감귤 광역조직으로의 주도적 역할이 미흡한데다 일부지역은 거점APC에 대한 지방비 확보방안 협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제주대 농업자원경제학과 고성보 교수는 “감협조직으로서는 국비와 도비를 제외한 50%의 자부담을 책임질 능력이 사실상 부족하다고 판단된다”면서 “제주도와 정부 그리고 농협과 연계하는 방안이 검토돼야 한다”고 말했다.
농림부는 제주감협을 비롯 남제주군 연합사업단, 북제주군 연합사업단, 서귀포시 연합사업단, 제주시 연합사업단 등 5개 사업단을 대상으로 평가한 결과 이 가운데 제주감협을 최종 선정했다.
나머지 사업단의 경우 행정기관을 중심으로 신규 조직된데다 지역농협과 전문 농협간 중복돼 있고 연합사업형태는 갖추고 있으나 조직간 연계 등 실천계획이 구체적이지 못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 산지유통센터에 대한 감귤조합과의 중복성, 사업규모 등에 대한 검토가 이뤄지지 않았고 인접 시·군과의 동일 생산, 유통권역 단일화가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이 같은 상황에서 용역팀은 제주지역의 경우 감협조직만으로 운영주체를 하기보다 지역특성상 공무원조직과 농협과 연계된 연합사업조직을 만들어 거점APC 운영주체를 통합단일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고성보 교수는 “감협 단일사업체가 최선안이지만 기존의 감협사업체와 19개의 지역농협연합사업체의 복수운영주체안도 차선책으로 내놓았지만 통합단일화로 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면서 “1대 1 통합은 어렵다는 게 감협의 입장이지만 흡수통합은 가능하기때문에 대승적차원에서 이를 풀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농림부는 제주지역 FTA기금조성에 따른 과수지원사업 조직으로 감협 1개조직만 선정, 거점APC로 남군 남원읍 신흥리에 사업비 60억원이 투입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