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인터넷 경매 사이트를 통한 싸구려.불량 감귤 유통행위가 전국적으로 성행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대형 경매 사이트들이 제주도의 ‘협조요청’에 불응, 제주도가 직접 관계자를 파견하는 상황으로 비화되고 있다.
제주도는 최근 국내 대규모 인터넷 경매 사이트에서 10kg들이 상자당 배송료를 포함해 5000원선까지 거래되면서 이를 매입한 상당수 네티즌들의 불만이 폭발하면서 제주감귤에 대한 대외이미지를 훼손함에 따라 인터넷 경매를 통한 감귤 판매업자들에 대한 신원확인 작업에 착수했다.
제주도는 이와 함께 이들 판매업자들에게 ‘판’을 차려 준 국내 대형 인터넷 경매 사이트 5개사 운영자에게 비상품 감귤 판매행위 자제와 함께 해당 판매업자들의 신원확인에 협조해 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이들 인터넷 경매 사이트들은 제주도의 협조요청을 철저히 외면, 사실상 인터넷 경매 사이트에서의 불량감귤 판매해위가 근절되지 않은 채 곳곳에서 거래가 성행하고 있다.
이처럼 이들 인터넷 경매 사이트들이 제주도의 협조요청을 외면하고 있는 것은 불량가귤 판매행위를 알선하더라도 처벌근거가 없기 때문이다.
제주도는 이에 따라 13일 감귤유통부서 실무자들을 이들 경매 사이트에 직접 파견, 불량감귤 판매에 따른 제주지역 농가들의 입장과 또 감귤유통명령제의 취지 등을 설명한 뒤 협조를 재요청 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이와 관련,“제주지역 20여 곳의 인터넷 판매 업체들의 경우 대부분 농가들이 직접 운영, 불량.싸구려 감귤 유통의 문제점을 발생하지 않고 있는 반면 ‘저가 경매’위주로 거래가 이뤄지고 있는 경매 사이트는 문제가 다르다”면서 “현재로서는 경매 사이트 업체의 협조가 이뤄지지 않아 경매 사이트 판매업자들의 주소를 역 추적, 이들의 불법행위를 단속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