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조종사노조 파업여파가 현실화하고 있다.
파업 이틀째에 접어들고 있는 가운데 여객운송 뿐만 아니라 특급(당일 도착) 택배물량의 발이 묶이는 등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도내 당일 택배물량의 대부분은 대한항공과 전속거래를 맺고 있는 우체국을 통해 처리되고 있다.
그런데 대한항공 파업으로 제주발 운항노선이 대폭 감소, 도내 산업계에 불똥이 튀고 있다.
대한항공은 파업 첫날 평소 40~42편에 이르던 제주발 운항노선을 18편으로 줄였다. 이에 따라 평일 8000자루에 이르던 우체국 당일 택배는 5700자루로 급감했다.
사정이 이렇자 업체들은 아시아나항공과 거래하는 택배회사로 발길을 돌려보지만 이마저도 여의치 않다.
아시아나항공 기종 자체가 작아 화물운송에 한계가 있는 데다 물량이 한꺼번에 몰려 운송배정을 받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이 같은 물류난은 앞으로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대한항공은 파업 이틀째에 운항노선을 더욱 줄여 12편으로 편성했다.
문제는 신선도를 생명으로 해 부가가치가 높은 제주산 농축수산물의 당일 택배가 장기간 막힐 경우 최근 회복기미를 보이고 있는 지역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초래한다는 점이다.
더욱이 주말을 고비로 특급 호텔과 골프장 등에서도 주말예약 일부가 취소되는 등 파업의 악영향이 나타나고 있다.
도관광협회에 따르면 대한항공을 통한 물류수송 및 관광수입은 지역내총생산(GRDP)의 30%를 웃도는 1조6800여억원으로 추산된다. 대한항공의 파업은 그 자체만으로 지역경제에 치명적인 손실을 입힐 수 있다는 말이다.
도민들이 파업으로 인한 항공대란을 막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마련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으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경제살리기범도민운동추진협의회는 성명과 일간지 광고 등을 통해 대한항공 조종사노조의 파업 철회를 촉구하는 한편 정부에 대해 “항공운송사업을 필수공익사업장으로 지정하라”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