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조종사노조가 임금협상 결렬로 파업을 강행, 제주관광 성수기 ‘항공대란’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여름철 관광성수기 아시아나항공 사태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관련업계는 같은 상황이 재연되지나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8일 제주도 등에 따르면 대한항공 조종사노조가 이날 0시를 기해 총파업에 돌입함에 따라 대한항공 측은 제주를 제외한 내륙노선에 전면 결항을 발표했다.
제주노선의 경우 기존 정기편을 없애는 대신 54편의 임시편을 편성했다. 이는 그러나 평일 정기편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관광객 수송과 도민들의 뭍 나들이에 불편이 예상된다.
또 제주를 연결하는 국제선 결항도 예고되고 있다. 파업 첫날 제주발 오사카행(KE733) 결항을 시작으로 제주와 일본 동경, 나고야 등을 잇는 국제노선의 운항차질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제주노선 운항물량의 70% 정도를 차지하는 대한항공이 이처럼 무더기 결항사태를 빚으면서 제주경제는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7월17~8월17일까지 한 달간 아시아나항공 조종사노조 파업 시 총 380편의 결항으로 관광객이 8만여명이나 감소하는 등 도내 관광업계는 큰 홍역을 치렀다. 이에 따른 관련업계 피해액만도 대략 220억원에 달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번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그 피해가 아시아나항공 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더욱이 현재 제주관광시장은 아시아나항공 파업의 악재를 극복하고 내국인 및 외국인 관광유치가 회복ㆍ상승 중에 있는 시점이다. 자칫 ‘관광객 500만’ 돌파가 물 건너갈 수도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파업 철회와 정부의 긴급조정권 발동 등 조속한 사태 해결을 위한 대책을 요구하는 도민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
경제살리기범도민운동추진협회는 이날 성명을 통해 “대한항공 조종사노조 파업은 지역경제를 더욱 침체의 나락으로 밀어 넣을 것”이라며 파업 철회를 촉구하는 동시에 정부에 대해서도 “아시아나항공항공 때처럼 실기하지 말고 긴급조정권을 발동하라”고 요구했다.
제주도소비자단체협의회는 “독점적 형태를 띤 항공사 파업은 노사간 자율교섭에 맡길 사안이 아니다”라며 “정부는 항공산업을 필수공익산업으로 지정, 항공사로 인한 국민경제와 소비자 피해를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주도와 도관광협회는 대한항공에 항공기 정상운항을 요청하는 한편 아시아나항공에는 증편 운항을 요청하는 건의문을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