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장이 관철되지 않을 것 같아서 사표를 제출한다”
오는 13일 제주지역 혁신도시 결정을 앞두고 수도권 공공기관이 추천한 10명의 위원 가운데 공공노조가 추천한 2명이 이 같은 주장을 펴면서 결국 위원직 사퇴서를 제주도에 제출해 파문이 일고 있다.
이에 따라 혁신도시 결정 때 투표를 위해 이들을 대체할 위원 추천작업이 벌어지는 등 혁신도시 결정이 혼미를 거듭하고 있다.
제주도관계자는 1일 “지난 6일 공공노조가 추천한 2명이 ‘주장이 관철되지 않고 있다’는 내용의 사퇴서를 제출했다”면서 “제주도는 공공노조에 이들을 대체할 2명의 위원을 오는 7일까지 추천해 줄 것을 공식의뢰 했다”고 말했다.
결국 제주지역 4개의 후보지를 대상으로 1곳의 혁신도시 후보지를 선정해야 할 20명의 위원 가운데 2명이 사퇴함에 따라 입지선정위원회는 제주도지사 추천 10명과 수도권 공공기관 추전 8명 등 18명으로 줄어들면서 제주지사 추천후보가 과반수를 넘어서게 됐다.
이처럼 도지사 출신 위원이 공공기관 추천위원보다 2명이 많은 상황에서 공공노조가 후보를 재추천하지 않을 경우 입지선정 투표는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된다.
제주도는 공공노조가 계속 불참할 경우 제주도 추천 10명의 위원 중 2명을 제외해 각각 8명씩 동수로 맞춘 후 투표를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제주도관계자는 “공공노조가 기한까지 위원을 추천하지 않을 경우 재추천 의사가 없는 것으로 보고 양쪽 위원수를 같게 한 뒤 입지선정 투표를 할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 같은 입장을 나머지 공공기관 추천위원 8명이 순수하게 받아들이느냐 하는 것이 문제다.
가뜩이나 공공기관 노조 등으로부터 압력을 받고 있는 이들이 제주도의 이 같은 입장을 수용할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불분명하다.
이와 함께 제주도가 지사추천 위원 가운데 과연 누구를 배제할 것인지, 이 경우 당사자들의 반발 또한 불가피해 혁신도시 입지선정을 앞두고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앞서 정부는 지난달 30일 혁신도시를 유치하는 전국 11개 시.도 부지사.부시장 회의를 개최, 혁신도시 입지선정을 오는 15일로 연기했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입지선정 과정 등이 모범적인 시.도에 대해서는 향후 혁신도시 결정때까지 적극적인 행정.재정 지원을 하겠지만 15일까지 입지선정을 하지 못한 지역에 대해서는 차등 지원 등 불이익을 주겠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