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로 내려오는 수도권 9개 공공기관이 들어설 지역을 결정하는 이른바 ‘혁신도시’ 후보지 결정이 임박하면서 과연 연내 결정이 이뤄질 것인지에 초미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혁신도시 후보지를 결정할 입지선정위원회는 지난 25일 5차회의를 열어 내달 13일 오후 2시 6차회의를 속개, 후보지를 결정한다는데 위원들간 의견을 같이했다.
그러나 내달 6차회의에서 후보지 결정을 가로막는 요인들이 5차회의가 끝난 현재까지 곳곳에서 목격되면서 혁신도시 연내 입지결정에 적신호가 켜졌다.
우선 현신도시를 결정하게 될 20명의 위원 가운데 일부 위원들이 현재까지 직ㆍ간접으로 사퇴표명 의사를 밝히면서 회의 참여를 기피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25일 회의 때도 개인사정을 내세워 4명의 위원이 불참했는데 이들의 불참사유를 순수하게 ‘개인사정’으로 이해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것이 위원회 주변의 분석이다.
입지선정위원회는 사퇴 등의 의사를 보이고 있는 위원들에게 공식입장을 요구하는 공문을 발송키로 했다.
이들은 대부분은 제주에 내려올 공공기관 노조 등으로부터 ‘공항과 근접한 거리’를 우선 대상지로 선정할 것을 요구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한 제주도 관계자도 “일부 위원들의 경우 입주기관 노조 등으로부터 직간접 압력을 받고 있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라고 소개했다.
이와 함께 연내 혁신도시 선정을 어렵게 만들고 있는 요소 가운데 하나인 ‘전국상황’이다.
정부는 지난 6월 176개 수도권 공공기관의 지방이전을 결정하면서 이들을 행정복합도시가 건설되는 충청권을 제외한 전국 10개 시도(전남과 광주광역시 통합)를 지정했다.
그런데 제주도가 파악한 결과 28일 현재 후보지가 선정된 지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북도 및 경상남도 등 3개 시도 뿐이다.
한편 김태환 제주도지사는 28일 혁신도시 선정과 관련, “절치과정에서 후유증이 없도록 세심한 노력이 병행돼야 하며 내달 13일 회의때는 위원들의 참석을 유도하고 대리인이라도 참석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특히 “제주도가 입지선정과정에 개입하지 않고 위원회 스스로 결정토록 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