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기초자치단체장들이 제기한 ‘권한 쟁의심판’ 심리가 헌법재판소에서 개시된 가운데 특히 강상주 서귀포 시장의 정치적 행보에 대해 정가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강 시장은 이와 관련 이달들어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시장(출마)이나 도지사(출마)에 관계없이 우선은 기초자치단체를 살리는 것이 급하다”고 운을 뗐다.
기초단체를 없애는 내용의 혁신안을 놓고 크게 반발하는 지역은 서귀포시를 중심으로 하는 산남지역으로 강 시장 등은 헌법재판소의 판단을 노심초사 기대하는 형편이다.
행자부가 이 법안을 이미 국회에 상정했고 다수당인 열린우리당 및 한나라당이 제동을 걸지 않을 것으로 여겨지는 마당임을 감안하면 강 시장 등이 유일하게 기댈 언덕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도내 정가는 이번 기초자치단체 폐지가 강 시장에게는 ‘크게 억울한 일’이 아니라는 판세 분석표를 내놓고 있다.
1998년 시장 등정에 성공한지 8년째를 맞은 강 시장이지만 지난 2002년 지방선거에서 ‘겨우 이겼을 정도로’ 시장으로서 눈에 띄는 ‘능력발휘’를 통해 서귀포 시민들의 절대적 지지를 받고 있다고 여길 수 없는 처지다.
이 시점에서 파생된 행정체제 개편 논의, 7ㆍ27 주민선거에 따라 혁신안이 확정되면서 강 시장이 ‘다음 시장 선거 출마여부가 불투명해졌다’면서 주저 앉을 것으로 보는 시민은 드물다.
권한쟁의심판 청구, 가처분신청 공표 등 일련의 정치적 행보외에 도지사 경선을 내심 준비하는 것으로 분석된 탓이다.
경선에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는 한나라당 ‘책임당원 확보’에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움직인 것도 바로 강 시장이다.
강 시장은 이 부분에 대해 기자간담회에서 “젊은 층들이 당 가입을 꺼려 어려웠다”는 표현으로 간접 시인했다.
또한 아무런 연관이 없는 제주시내에서 열린 모고교 총동창회 체육대회를 찾아 ‘인사를 나누는 등’ 서귀포 시장의 행보라기 보다 도 전체 차원을 가늠하면서 울타리를 넘어섰다는 점은 분명하다.
이러한 과정속에 도내 정가는 강 시장의 노림수를 한 가지로 좁히고 있다.
산남 맹주론이 그것이다.
정가의 분석이 맞다면 이미 강 시장은 절반의 성공을 거둔 셈이다.
서귀포시 시민ㆍ사회단체 등과 ‘기초자치단체 폐지 반대’라는 배에 자연스럽게 동승하면서 서귀포시장 강상주가 아닌 도 전체의 강상주로 이미지를 업그레이드 시킨 까닭이다.
반면 도내 정가는 강 시장에 대해 따끔한 충고를 아끼지 않고 있다.
모 당의 간부는 “자신의 지지기반을 만드는 작업은 정치인이라면 당연 한 것”이라고 전제 한 후 “하지만 지지기반으로 지역을 겨냥해서는 안된다”면서 “시장이 정치적 입지를 상향조정하기를 원한다면 시장으로서 업적을 나타낸 뒤 도민 전체의 선택을 기다리는 것이 맞다”고 꼬집었다.
이 간부는 이어 “작은 제주도가 하나로 뭉쳐도 부족한 판국에 이를 인위적으로 가르려는 어떠한 시도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권한쟁의심판 후 강 시장의 정치적 선택을 두고 서귀포 시민은 ‘기대반 우려반’의 시각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