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 허파로 지칭되는 곶자왈 정책과 관련, 제주도가 보호를 외치면서도 실제로는 난개발을 방치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2일 제주도의회 농수산환경위원회의 행정사무감사에서 안동우 의원(민주노동당)은 “곶자왈은 지하수 함양지대이자 생태계의 보고로 알려졌으나 용암석을 비롯한 대규모 희귀식물 불법도채 및 대규모 개발 사업이 여전히 자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이어 “선흘곶 묘산봉 지구도 현재 대규모로 개발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서광곶자왈에는 역사신화 공원 조성으로 훼손되고 있으며 동광 곶자왈 역시 파괴가 계속되고 있다”면서 “이처럼 곶자왈 파괴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는데도 제주도는 뚜렷한 보존대책을 세우지 못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안 의원은 이어 “제주도는 곶자왈 등 중산간 지역의 지하수 함유지대에 대한 특별관리체제 구축과 함께 곶자왈 지역에서만이라도 지하수 등급을 1등급으로 조정하거나 행위제한을 강화하는 등 근본적인 정책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안의원은 따라서 각종 개발사업 및 희귀식물 용암석 등 자원불법도채로 인해 수년째 곶자왈이 훼손되고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면서 제주도 당국은 구호가 아니라 실질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제주도는 오름 및 곶자왈을 체계적으로 보전 관리하기 위해 내년도 1억원의 사업예산을 투입, 곶자왈 보전 관리기본계획 용역을 수립하는 한편 개발사업 시행 및 예정지역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제주도는 또 GIS지하수.생태계 관리보전지역 재조사와 등급조정 및 곶자왈의 정확한 개념정립과 분포현황을 조사해 생태자원화 기틀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제주지역에는 현재 109㎢의 곶자왈이 남제주군과 북제주군을 중심으로 분포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