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 유치 '남의 일'
혁신도시 유치 '남의 일'
  • 고창일 기자
  • 승인 2005.11.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귀포시, 입지선정위 대상 홍보 '나 몰라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골머리를 앓는 서귀포시가 혁신도시 유치에 대해서는 시큰둥한 모습을 보여 시민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참여정부의 지방균형 발전 정책의 하나로 서울 인근 및 충청 지방을 제외한 지역에 공공기관을 배정하는 사업에 의해 제주도 이전이 결정된 기관은 한국국제교류재단을 포함해 재외동포재단, 국세공무원교육원, 건설교통인재개발원, 국세청기술연구소, 기상연구소, 공무원연금관리공단, 국세청종합상담센터, 한국정보문화진흥원 등 9개 기관으로 이들 기관은 수십만평 부지에 '혁신도시'를 구성하게 된다.

이에 전국 지자체들이 저마다 유치를 위한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 제주도는 '가급적 산남지역 도시건설로 지역균형발전 도모'를 그리고 있다.
특히 행정체제 개편으로 인해 발생한  서귀포시를 중심으로 하는 산남지역 주민들의 '발전 소외론'을 '혁신도시 유치'로 해결해야 한다는 제주도정의 기본 방침이 맞물린 상태로 도 내부적으로는 어느 정도 방향이 정해졌다는 분석이다.

문제는 해당 기관의 노조 및 임직원들이 제주시 근처를 원하고 있다는 데서 비롯됐다.
모두 20명으로 이뤄진 제주혁신도시입지선정위원회는 지방이전이 결정된 이후 수 차례 회합을 가지고 입지선정에 나섰으나 도 추천 10명. 해당 기관 추천 10명이 서로 팽팽한 의견대립을 보이면서 쉽게 결론에 이르지 못하는 실정이다.
특히 해당기관 노조는 '교육 여건 및 교통. 거주환경' 등을 강조하는 반면 혁신도시 유치에 목말라야 할 서귀포시는 이들 노조를 대상으로 서귀포시 알리기 등 설득작업을 아예 포기한 채 '강 건너 불구경'하는 모습으로 일관하고 있다.

또한 경쟁 지자체인 남군이 혁신도시의 초점인 발전가능성, 도시개발의 적정성, 지역내 동반성장 가능성, 혁신도시건설 비젼 등을 한데 모은 홍보책자를 만들어 선정위원에게 전달하고 남군수 명의의 서한문을 발송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과 대조를 이루고 있다.
서귀포시 관계자는 이와 관련 "유치위원회가 구성돼 있기는 하지만 현재 활동상황이 전무하다"고 시인 한 후 "혁신도시 유치에 대해 별 다른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