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식품 인증제도의 개선을 늦출 경우 시장이 붕괴될 수도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식품연구원은 '유기식품 인증시스템 도입방안' 자료를 최근 발표, "지난 2000년 이후 친환경유기식품 시장규모는 해마다 35%씩 성장하고 있으나 제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소비자들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허위표시 등 소비자를 기만하는 사례가 늘어 시장을 크게 위협하고 있다고 밝혔다.
식품연구원은 또 "식품의 속성탓으로 신선도와 외관, 맛, 보존기간등은 소비자들이 비교적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나 영양성분과 오염가능성, 기능성, 유기재배여부, 원산지 등은 알아내기가 거의 불가능하다"면서 "특히 수입유기가공식품의 경우 관세와 성분, 유전자 조작 검사비용이 많이 지출되는데다 수입에서 판매까지 6-12개월이 걸리고 유통과정에서 폐기되는 양이 15%에 이를 정도로 많이 발생해 각종 표시사항을 허위로 기재할 가능성이 더욱 높다"고 지적했다.
허위표시가 늘어날 경우 소비자들이 유기식품을 소비하고 싶어도 믿을 수가 없어 구입을 포가하고 생산자들은 가격 프리미엄이 줄어들어 유기농 생산을 포기하게 돼 결국 시장이 무너진다는 지적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유기식품과 일반식품을 완전히 차별화하는 유기식품 인증제도에 관한 법률을 시급히 도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식품연구원 관계자는 "생산이력추적제를 강력히 시행해서 정보의 비대칭성을 해소하고 유기생산에 허용 또는 금지하는 물질의 목록도 제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