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학 의원 당위성 주장에 고희범 시장 “주민삶 생각해야”
제주시 비자림로 확·포장 사업과 관련 논란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제주도의회의 제주시 행정사무감사에서도 사업추진 당위성을 내세우는 주장이 다시 나오며 주목된다. 제주시장 역시 지역주민들의 숙원사업이라는 점에 공감, 인사청문회 당시 발언과 변화된 입장을 보여 이를 둘러싼 논란은 쉬이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제주도의회 농수축지식경제위원회 소속 김경학 의원은 24일 제주시를 상대로 한 행정사무감사에서 비자림로 사업이 ‘주민숙원사업’이라는 점 등을 들며 추진 당위성을 피력했다.
김 의원은 “연오로, 신광사거리~오일시장 구간 도로확장 사업 등에 반대하는 사람이 없을 것”이라며 “최근 탐라해상풍력단지를 다녀왔는데 어떤 분은 풍력발전이 관광적 가치가 있다고 보는데 지역주민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며 지역주민 의사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이어 “삼나무에 대해 언급하기는 그렇지만 독재정권 시대 치산녹화사업으로 보여주기식으로 진행된 것”이라며 “참나무나 편백나무로 심었으면 엄청난 자산이 됐을 탠데 아쉽다. 오름이라든가 임야에 심어져 있는 삼나무를 베어내고 미래세대를 위해 참나무 등을 심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고희범 시장은 “비자림로는 2013년 계획된 주민들의 오랜 숙원사업”이라며 “농기계 운행에 문제가 있고, 차량통행 증가 등으로 사고위험이 높아 이 부분은 도민과 관광객 누구나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삼나무가 밀집돼 있는 지역은 경관적으로 아름답지만 실제 목재로 사용이 불가능하고, 꽃가루는 아토피 원인이 돼 수종개량 이야기가 나온다”며 “어느 한쪽이 옳다고 할 게 아니라 지혜를 모을 때다”라고 덧붙였다.
고 시장은 또 “현지인들은 꽃가루 등으로 인해 밥그릇도 열어놓지 못할 정도라 주민들의 삶도 생각해야 한다. 같이 고민해야 한다”고도 답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제주도에서 판단할 문제지만 제주시장이 이야기해줘서 감사하다”고 밝힌 뒤 “용눈이, 아부오름 등에 심어진 소나무 등도 제거, 오름이 원형을 찾을 수 있는 방안도 검토해 줄 것”을 요구했다.
한편 비자림로 도로건설공사는 제주도는 제주시 구좌읍 대천교차로~금백조로 입구 2.9㎞ 구간을 4차로로 확·포장하는 사업이다. 지난 2013년부터 도로정비기본계획 반영 및 행정절차 이행 등을 거쳐 지난 6월 공상에 착공했다. 이 과정에서 삼나무 915그루(총 계획수량 2160그루)가 잘려나가며 논란이 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