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훼손 논란’ 비자림로 최적 대안 만들까
‘훼손 논란’ 비자림로 최적 대안 만들까
  • 김진규 기자
  • 승인 2018.09.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元 지사 “주민 숙원사업이자 특별 교부금 예산 책정 사업” 강조

도정질문서 ‘생태도로’ 들어 사실상 공사 진행 입장 시사

원희룡 제주특별자치도지사가 전국적인 이슈로 떠오른 비자림로 확포장 논란과 관련해 “지역주민들의 숙원사업이며, 정부가 특별교부금으로 예산을 책정한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원 지사는 5일 제364회 제주도의회 제1차 정례회 제3차 본회의에서 열린 도정질문에서 “저의 아버지를 비롯해 농가에서는 쑥대낭(삼나무)을 잘라야 한다며 보조금을 신청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꽃가루 알레르기와 아토피, 호흡기 질환도 문제되고 있다. 몇 년 전 환경단체에서도 ‘농경지에 삼나무 대신 수종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말했다.

이같은 발언은 비자림로 확포장에 힘을 실어주는 발언으로 풀이된다. 주민숙원사업인데다, 사전 준비가 5년에 걸쳐 추진돼 편입 토지 보상도 75%에 이르고 있어 사업 백지화는 어렵다는 분석도 나온다. 

도는 급증하는 교통량 증가에 따른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 8월 2일부터 비자림로 확·포장 공사 착수와 함께 삼나무를 벌목했지만, 환경훼손 논란이 일면서 같은달 9일 공사를 잠정 중단했다.

원 지사는 공사 잠정 중단을 선언하면서 “도민과 소통하고, 지혜를 모아 검토해서 비자림로를 아름다운 생태도로로 만들 방안을 찾겠다”고 말했지만, 생태도로가 정확히 무엇을 뜻하는지는 불분명하다.

고은실 의원(정의당, 비례대표)는 “비자림로를 지키고자 하는 시민들과 주민 숙원사업임을 이야기하는 송당 주님들 간의 대치점이 만들어지려고 하는데도, 도는 수수방관 시간끌기로 지켜보고만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갑자기 생태도로를 만들겠다고 하는데, 생태도로의 정체가 무엇인지 밝혀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원 지사는 “휴가를 마치고 도청에 복귀해 첫 회의에서 환경훼손을 최소화하고 생태적 가치를 최대한 존중하는 대안을 만들 것을 주문했다. 도시건설국장과 경관·산림 전문가들이 해법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제가 연구하고 개념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좋은 대안이 나오면 승인하는 것이다. 저에게 생태도로가 뭐냐고 하는데 백과사전에 나온 용어도 있지만, 아름다운 생태도로를 만들기 위한 대안에는 미치지 못한다. 최적의 대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사전에 나온 생태도로는 아님을 이해해 달라”고 답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