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국회의원들, 4·3회복 방안 모색
제주 국회의원들, 4·3회복 방안 모색
  • 박민호 기자
  • 승인 2018.09.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4·3특별법 개정 토론회
어제 국회 의원회관서 진행

제주4·3특별법 개정을 위한 토론회가 개최됐다.

강창일·오영훈·위성곤 의원실이 공동으로 추최한 이번 토론회는 재경제주4·3희생자및피해자유족회 주관으로 ‘학살 피해를 어떻게 회복할 것인가’를 주제로 5일 오후 2시 국회 의원회관 간담회의실에서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서울대학교 전갑생 박사는 1950년 6월 한국전쟁 직후 수원역전에서 미군이 촬영한 동영상을 처음 공개하면서 그들의 행방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

전 박사는 “이들이 인천소년형무소에서 이감된 소년수들이라면 제주4·3항쟁 관계자들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면서 “앞으로 1950년 6월 29일 수원역전 앞에 모인 ‘한국인 정치범’ 또는 사상범이라고 불린 소년들과 성인들이 언제, 어디로, 어느 곳에, 어떻게 처리되었는지를 밝혀내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허상수 한국사회과학연구회 이사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제주학살 진상 규명작업이 1945년 8월 한국광복군과 미군 정보부대 O.S.S(Office of Strategic Service)의 제주도 점령 해방작전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며 “지난 30년동안 이루어진 제주·영동 노근리·광주학살의 이행기 정의 확립과정을 비교하면서 학살 피해 회복을 위해서는 먼저 한국과 미국의회의 적극적 역할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창일 의원은 “이번 토론회에서 소개되는 한국전쟁 전후시기 동영상 자료는 명예회복을 위한 문 앞에 선 생존 수형인들의 억울함을 입증하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했고, 오영훈 의원은 “제주4·3사건을 포함한 과거사 청산 작업을 재개하여 다시 인권과 평화의 길로 매진해 나가야 한다”고 역설했다.

위성곤 의원은 “이번 토론회는 특별법 개정 등 4·3의 완전한 해결 노력을 촉구하는 자리이자, 제주 4·3이 과거사 정리의 청사진을 마련하는 시간”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