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형 지구단위계획 지침’ 마련
‘제주형 지구단위계획 지침’ 마련
  • 김종광 기자
  • 승인 2018.09.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道, 관련 연구용역 추진…토지 이용 구체화
도시계획위원회 등 주요 심의 기준으로 활용

제주지역에 관광단지, 주택단지 등 주요 개발사업이 증가함에 따라 자연환경 훼손과 난개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가운에 환경보전과 계획적 개발을 유도하기 위한 기준이 마련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청정과 공존’의 지역 미래가치를 실현하고 환경보전과 난개발 방지, 계획적 개발을 유도하기 위한 ‘제주형 지구단위계획 지침’이 마련한다고 2일 밝혔다.

지구단위계획은 도시 내 일정구역을 대상으로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또는 도시관리를 위한 세부적인 계획으로 도시기본계획 등 상위계획 및 관련계획의 취지를 살려 토지이용을 구체화·합리화하기 위해 수립하는 도시관리계획이다.

이에 따라 주요 개발계획 및 사업추진 과정에 지역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계획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제주형 지구단위계획 지침 수립’ 연구용역을 이달부터 추진한다.

이를 위해 제주도는 지난 4월부터 기초조사를 위해 지구단위계획 지침이 마련된 서울시, 경기도, 대전시, 부산시 등의 지자체와 국토연구원, LH연구원, 부산발전연구원 등 관련연구 수행기관을 방문해 추진현황 및 관련 자료를 수집했다.

제주형 지구단위계획 지침에는 새로운 도시계획기법, 부문별, 유형별 세부 기준 및 근거를 마련할 예정이다.

계획허가제, 사전협상제, 고도관리기법 등의 새로운 도시계획기법의 적용가능성을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대상사업별로 부문별, 유형별 세부 기준 및 근거를 구체적으로 마련해 운영 매뉴얼로 작성·배포해 계획수립 시 적극적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특히 새롭게 마련되는 ‘제주형 지구단위계획 수립 지침’은 계획수립을 위한 가이드라인과 도시계획위원회 등의 주요 심의기준으로 활용해 나갈 계획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지역특성을 반영한 지침은 관련계획 수립 시 지역적 여건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하고, 구체화되고 통일된 기준을 제시해 일관된 도시계획체계를 실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