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수료 출혈경쟁에 수익성은 악화 부작용
제주관광 상거래 질서 혼탁 우려 개선 필요
금한령에 따른 중국인 관광객 감소에도 불구하고 최근 면세점 매출이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다. 면세상품 등을 대량으로 구매해 자국으로 돌아가 되파는 다이공(중국 보따리상)을 중심으로 한 시장이 형성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로 인한 부작용도 나오고 있어 개선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제주세관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제주도내 보세판매장(시내면세점, 출국장면세점) 매출액은 783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6% 급증했다. 다이공들이 중국인 관광객 수요를 메꿔줬기 때문이다.
이 같은 시장 형성이 이뤄진 것은 면세점들이 다이공 등에게 제공하는 수수료가 양성화된 영향이 가장 크다.
현재 면세점별로 수수료율 차이는 있지만 많게는 35%까지 지급해 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인 단체 관광객이 감소하면서 수수료 비중은 커지면 커졌지 줄지는 않을 것으로 관계자들은 보고 있다.
모 면세점인 경우 개장 전부터 다이공들이 입구에 줄을 서서 기다리는 풍경도 연출되고 있다. 면세점측은 상품 선점을 위해 줄을 선 이들에게 두당 2만원의 장려비까지 지급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특히 다이공들은 적게는 수십명 많게는 수백명 단위로 팀을 이뤄 조금이라도 수수료를 더 받기 위해 유력여행사에게 일정 수수료를 지급하고 코드를 받아 활동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여행사 역시 규모가 큰 다이공들과 조건만 맞춰 거래하게 되면 별다른 수고 없이 적지 않은 이득을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재주는 면세점이 부리고 돈은 중국인이 가져가는 등의 기형적인 시장이 형성되며,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면세점 업계의 수익성 악화다. 지금이야 매출을 올려주는 다이공이 면세점 입장에서는 고마운 존재지만, 관광객이 아닌 보따리상이 면세점의 주요 고객으로 굳어지게 되면 수익성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나아가 다이공들에게 매출의 상당부분을 의존하는 면세점으로서는 울며겨자먹기로 이들에 대한 할인 경쟁을 늘릴 수밖에 없어, 더 큰 출혈경쟁도 불가피해지게 된다.
여기에 다이공이 일부 불법매장과 결탁하고 허술한 법망의 틈을 이용해 면세상품을 다시 국내 소비자들에게 판매하는 부작용도 나오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면세업계 관계자는 “면세시장은 왜곡되고 있지만 현 상황에서 다이공에 물건을 팔지 않을 수는 없다”며 “중국인 관광객 수요가 회복돼 다이공들의 매출 비중이 떨어지기만을 기다릴 수밖에 없는 형국”이라고 설명했다.
관광업계 관계자는 “여행상품의 질을 떨어뜨리는 송객수수료보다 다이공에게 지급되는 수수료 규모가 훨씬 커 면세시장이 제주관광 상거래 질서를 혼탁하게 할 수 있는 만큼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