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수질현황 등 연구결과 공유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가 제주 지하수 자원의 합리적 이용과 체계적 관리를 기반으로 제주삼다수를 세계적인 모범사례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제주개발공사는 28일 오후 서울 양재동에서 ‘제주삼다수 출시 20주년 기념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날 컨퍼런스에서 제주대학교 수의학과 지영흔 교수는 ‘제주지하수의 생리활성효과’ 발표에서 제주삼다수의 장기 음용 시 면역력 증강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했다. 지 교수는 지난 연구에 이어 제주삼다수의 면역력 강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면역 기관들에서 제주삼다수의 면역 활성 생체 반응을 분석한 결과를 소개했다.
제주개발공사 품질연구본부장 고기원 박사는 ‘제주도 지하수의 부존특성과 지속 이용성’을 주제로 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제주도는 수문지질학적 관점에서 젊은 화산으로 지하수 함양율이 45%로 높으며 제주도 전체가 현무암질 용암과 스코리아(송이)층 지질 구조로 거대한 천연 정수기 기능을 하고 있다. 또한 제주도 구성암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현무암 류에는 당뇨 및 고지혈증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바나듐(V)이 최대 50ppb 정도 함유되어 있으며 규소(SiO2)도 30~40mg/L 함유되어 있다고 밝혔다.
고기원 박사는 “1998년 제주삼다수를 첫 출시할 때부터 지금까지 1시간 간격으로 지하수위 및 수질 관련 모니터링을 하고 있으며, 관련 변화는 전혀 없이 안정적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윤성택 교수는 지난 20여년간 축적된 지하수 수질(수화학) 자료를 활용해 제주지하수의 전반적인 수질 현황을 평가한 결과, 제주의 청정 지하수는 약알칼리성(평균 pH 7.7)과 낮은 TDS(총용존고체함량 ; 평균 약 140mg/L)로 특징되는 단순 알칼리 유형이고 국내외 지하수에 비하여 특히 바나듐과 용존 실리카(32 mg/L)의 함량이 높아 전형적인 현무암질 화산암반지하수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고 보고했다.
이날 제주삼다수의 탄생과 도전을 주제로 발표한 제주개발공사 오경수 사장은 “지난 해까지 제주삼다수 사업을 통해 발생한 2100억원에 달하는 이익금을 지역사회를 위해 환원했다”며 “향후 제주도의 환경과 지역사회를 위한 사회환원을 확대해 나갈 것이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