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수요에 기대왔던 크루즈관광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시장 다변화와 내수시장 육성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28일 제주관광공사가 주관하는 제6회 제주국제크루즈포럼이 제주신화월드 란딩컨벤션센터에서 막을 올린 가운데, 포럼 첫 행사인 아시아크루즈관광 세미나에서는 크루즈 관광상품의 다양화에 초점을 맞춘 의견들이 쏟아졌다.
이날 아시아크루즈관광 세미나는 제주관광학회(학회장 신왕근), 관광경영학회(학회장 김천중), 한국해양관광학회(학회장 진영재)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 연구모임인 제주해양산업발전포럼(대표 좌남수)이 공동으로 주관했다.
우선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윤주 부연구위원은 방한 크루즈시장의 주요 문제점으로 중국시장 중심의 저가 크루즈 시장형성과 크루즈 기항지별 상품 및 정책 차별화 부족, 크루즈 내수시장 부족 및 유관산업의 성장 한계를 들며 크루즈관광의 질적 성장을 위한 방안으로 크루즈 시장 다변화와 내수시장 육성을 강조했다.
황진회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본부장은 “동북아 크루즈 기항지 시장에서 가장 매력적이고 파급효과가 높은 환동해 크루즈 항로 확대를 위해 크루즈 투입 확대 및 북한과 연계한 상품개발이 필요하다”면서 “해양수산부·문화체육관광부·지자체 등 크루즈 유관기관 및 부처, 선사 및 여행사의 민관 공동 노력이 필요하다”며 동북아 크루즈 발전과제로 환동해·환황해 크루즈시장에 대해 분석하고 과제를 제시했다.
이와 함께 신동일 제주연구원 연구위원은 제주크루즈산업의 발전과제로 상해-제주-나선-블라디보스토크-니이카타로 이어지는 동북아 평화크루즈 노선 개발과 제주의 장점을 살린 MICE 등 특화상품 개발을 통해 제주만의 차별화된 전략으로 동북아 크루즈산업을 선도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국내외 관광 및 해양 전문가들은 제주가 크루즈 기항지를 넘어 모항 또는 준모항지로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방문객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제주만의 차별화된 관광상품의 다양한 전략들을 마련해서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들을 제시했다.
좌남수 제주해양산업발전포럼 대표의원은 “세미나를 통해 현 아시아 크루즈시장 변화대응과 질적 성장 방안, 남북관계 개선에 따른 동북아 크루즈 발전방안 등 다양한 방면으로 제주크루즈산업 성장을 위한 의미 있는 방안들이 도출된 것으로 보인다”며 “이를 실천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 의회 차원에서 강력히 추진될 수 있도록 뒷받침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