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이 10월 10일부터 14일까지 제주에서 개최되는 ‘2018년 대한민국 해군 국제관함식’에서 해상사열에 참여할 국민사열단을 이달 15일부터 30일까지 공개 모집하는 등 행사 준비에 한창이지만, 강정주민을 비롯한 제주도민들로부터 환대를 받으며 성공적으로 치러질지는 의문이다.
해군은 “제주민국복합형 관광미항 건설 과정에서의 상처를 치유하고, 민군이 화합하고 상생할 수 있는 기회로 삼고자 이번 국제관함식을 제주에서 개최키로 했다”고 공식 발표했지만, 그 진정성이 대한 의심이 풀리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제주에서 국제관함식을 개최하는 또 다른 이유는 11년 간 해군기지 건설을 둘러싼 갈등 해소 뿐만 아니라, 제주해군기지가 동북아지역에 중요한 전략기지라는 점을 대외적으로 알리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국방부는 지난 13일 “서주석 국방부 차관이 제주해군기지를 방문해 국제관함식 준비 상황을 점검하고, 강정마을 회장을 비롯한 강정마을 주민들을 만나 이번 행사를 계기로, 민군이 상생과 화합으로 나갈 수 있는 방향을 의논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강정마을 해군기지 반대주민회는 만나지 않아, 해군이 강조한 주민과의 상생화합에 대한 진정성이 퇴색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강정마을은 지난 3월 30일 강정마을 총회에서 관함식 반대 투표 결과를 해군측에 표명했지만, 해군은 “행사에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해 강정주민들에게 유감 표명을 할 수 있다”고 제안하며 마을측에 재논의를 요청했다.
재투표가 이뤄진 결과 유치 결정이 내려졌지만, 강정마을 성인 2000여명 중 449명만 투표에 참석했다. 지난 11년 전 전체 강정주민 10%도 안되는 주민들이 찬성 의견을 명분으로 해군기지 유치가 결정된 것과 오버랩이 된다는 시각도 있다.
해군은 “이번 행사를 국민과 함께하는 축제로 열 계획”이라고 강조하고 있지만, 이 시점에서 가장 시급히 해야 할 과제는 진정성을 가지고 상처받은 강정주민들을 보듬는 일이다.
강정마을 해군기지 반대주민회는 14일 성명을 통해 “국제관함식은 정부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추진하는지 무관하게 수많은 민원제기와 함께 제주도의 위상을 바꿔놓을 행사가 될 것”이라며 “제주도가 점점 군사기지의 섬으로 변화되고 이로 인해 도민들의 삶의 형태가 바뀌어나게 되는 과정에 있어서 발생하는 모든 갈등은 지금의 문재인 정권의 책임”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