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연구원 김태윤 연구위원
정책이슈브리프 통해 주장
정책이슈브리프 통해 주장
남북·북미정상회담 이후 한반도에 평화무드가 조성되면서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북한과의 교류협력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제주도청 내 남북 교류협력을 위한 전담조직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제주연구원 김태윤 선임연구위원은 13일 발간된 정책이슈브리프 ‘제주특별자치도·북한간 환경분야 교류협력 방향과 과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김태윤 연구위원은 “대북 인도적 사업과 병행해 제주도가 보유하고 있는 환경분야 장점을 활용해 한라에서 백두까지 한반도 생태공동체 구축을 선도적으로 수행해야 한다”며 “제주도가 환경분야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 연구위원은 “통일부 발표에 따르면 2004년부터 2012년 7월까지 통일부 승인 581건의 경제협력과 사회문화협력 중에서 환경협력과 관련한 사업은 5건에 불과하다”며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제주도에서 환경분야 교류협력을 추진하는 것은 매우 적절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를 위해 제주도청 내 남북교류협력을 전담하는 조직과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뒷받침하기 위한 제주특별자치도 남북교류협력센터를 설립·운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한반도 국제보호지역 명산 네트워크 구축·운영 △한라산-백두산 생태·환경보존 공동협력 사업 △한라에서 백두까지 제주올레 프로젝트 추진 △4·3평화공원 내 평화의 숲에 북한지역 숲 조성 추진도 제안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