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전체적인 도내 항만 물동량이 증가했지만, 건설경기 부진에 따른 건설자재 물동량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도내 항만 물동량은 1148만5000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077만1000t 보다 6.6%(71만4000)가 증가했다.
품목별로 보면 유류가 4.5%, 비료 14.6%, 기타 27.7% 순이며, 최근 건축경기 침체로 건설자재인 모래 24.8%, 시멘트 23.1%, 자갈 40.7%, 철재 7.7% 등은 감소했다. 이와 함께 월동무, 감귤 등의 생산량 부진으로 농산물도 35.6% 감소세를 보였다.
항만별로는 제주항의 경우 유류, 기타품목 등의 반출입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15.2% 증가한 반면, 서귀포항 22.8%, 성산포항 20.6%, 한림항 11.3%, 화순항 10.7%, 애월항 2.4% 감소세를 보였는데 이는 건설경기 침체에 따른 모래, 자갈, 시멘트 등 건설자재 반입이 줄어들었을 뿐만 아니라 농산물의 육지부 반출이 저조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김선우 해운항만물류과장은 “당분간 주택건설 등 건설경기가 살아나지 않을 경우 육지부로부터 건설자재 반입 저조 등으로 큰 폭의 물동량 증가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