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제주도교육청 조직진단 연구용역 현안보고 3차 회의 개최
의원들 지구 신설, 업무 분장 등 용역 안에 회의적 입장 표명
‘지구’를 신설해 교사들의 업무 부담을 덜어 교육중심 학교 시스템을 만들겠다는 제주도교육청의 조직개편 용역 안에 대해 제주도의회 교육위원회(위원장 강시백) 의원 상당수가 회의적인 입장을 표했다.
의원들은 7일 도의회 교육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도교육청 조직진단 연구용역 현안보고 3차 회의에서 지구 신설보다는 교육지원청의 기능을 학교 현장 지원으로 강화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김희현 부의장(제주시 일도2동을, 더불어민주당)은 “현장 지원은 좋지만 제주가 면적이 그리 넓지 않은데 읍면동별로 지구를 따로 둘 필요가 없다”며 “지원청의 학교 지원 기능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개선하는 안을 찾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
강시백 위원장(서귀포시 서부선거구 교육의원)은 “지구당 8명씩 7개 지구를 만들 인원이면 그 인력을 지원청으로 보내거나, 학교로 보내 교사 업무를 돕게 하는 편이 낫다”고 말했다.
김장영 부위원장(제주시 중부선거구 교육의원)도 “지구 신설은 적절치 않다. 교육지원청을 더 잘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일부 의원들은 조직 개편 안에서 용역진이 지구 업무로 분류한 복지, 보건교사 순회 운영 업무에 대해 “학생을 직접 파악하고 있는 학교 교사들이 현장에서 해야 할 업무”라며 “특히 보건교사의 경우 교내에서 아이들과 마주하며 응급처치, 감염병 예방, 건강 교육, 질병관리 업무를 처리해야 한다”고 반대 입장을 표했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도교육청 조직 개편 안에 유아교육 전문가 홀대 문제가 집중 거론되기도 했다.
김장영, 송창권, 강시백 의원 등은 용역진이 유치원 교사들의 업무가 가장 많다고 분석하고도 개편 안에는 대안이 누락됐고 유아교육 전문직도 부족하다며 균형 있는 교육 발전을 위해 이 문제를 용역 최종안에 반영해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