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을 앞두고 편의점 등 프랜차이즈 업계에서 경영악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편의점 사태 문제의 핵심은 무차별적인 점포확대 등 비합리적인 사업운영 체계에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위성곤 의원(더불어민주당·서귀포시)은 23일 열린 산업통상자원부 국회 업무보고에서 “편의점 인건비 문제에 가려진 본사들의 잘못된 공격적 마케팅 행위에 주목해야 한다”며 “본사의 무리한 경영행태 개선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정보제공시스템 ‘주요 편의점 정보공개서’에 따르면 지난 2010년 1만4000여 곳이었던 편의점 가맹점수가 2016년에는 2.2배 증가한 3만1000여곳이 개설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8년 현재에는 약 4만여 곳이 넘는 편의점 가맹점이 개설된 것으로 추정된다.
편의점 가맹점이 늘어날수록 가맹본사들의 이익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CU, GS25, 세븐일레븐, 미니스톱 등 4대 주요 편의점 가맹본사의 총 매출액은 2010년 6조7621억원에서 2016년 16조8225억원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영업이익도 같은 기간 2조803억원에서 4조5531억원으로 늘어났다.
반면 가맹점의 연평균 매출액은 같은 기간 5억650만원에서 6억875만원으로 1.2배 증가에 그쳤다. 편의점 가맹점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 데는 지난 2014년 박근혜 정부가 동일 브랜드에 한해 250m 내 신규 출점을 금지하는 ‘모범거래기준’을 폐지한 영향도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위 의원은 “우리는 과거 치킨 및 피자업계의 과다 경쟁으로 모두가 어려워지는 상황을 지켜봐왔다”며 “정부는 이러한 사태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상생의 안전장치를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