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동 목표 노력·의회 자율권 확보 등 골자…새로운 협치모델 관심
민선 7기 원희룡 도정과 제11대 제주도의회가 전국 최초로 ‘협치 제도화’에 전격 합의하고 상설정책협의회를 운영하기로 했다.
도의회 개원과 동시에 김태석 의장이 선언한 ‘협치의 제도화’에 원희룡 지사가 화답한 것으로, 무소속인 원희룡 지사와 더불어민주당이 장악한 의회 간 협치의 성공 여부에 귀추가 주목된다.
원희룡 지사와 김태석 도의회 의장은 13일 오전 도민의방에서 ‘제주도와 도의회의 상설정책협의회를 위한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도와 의회는 △제주특별자치도의 가치 보장을 위한 지방분권 개헌, 도민의 자기결정권 강화 등 공동의 목표에 대한 노력 △의회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의회 인사․조직권의 신속한 이양 및 관련 법령 및 제도개선 노력 △지방행정의 합리적·효율적 수행 및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를 위한 도와 의회 간 협력 방안 등 큰 틀에서 세 가지 사항에 합의했다.
김태석 의장은 “협치가 먼저 손을 내밀고 도와달라고 하는 것만으로는 되지 않고, 우선 배려하고 양보하는 상호존중의 자세가 필요하다”고 하면서 “이번 일을 계기로 도민들께 보다 성숙한 의회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제가 제안한 새로운‘제주형 협치 모델’을 구축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에 전격 합의한 민선7기 도정과 11대의회의 새로운 정치 실험이 성공적으로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원희룡 도지사와 함께 노력해서, 도민들이 만족하고 칭찬하는 새로운 협치 모델을 만들어 ‘협치 의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원희룡 지사는 “소속 정당과 정치적 기반이 다른 경우 어떻게 하면 의회와 집행부 간 협력관계를 더 잘 구축할 수 있을지 고민에서 비롯된 것으로, 협치와 연정을 가능한 단계부터 확대시켜 나가면서 도민 만족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도의회에 인사권과 조직권을 이양하는 문제는 전적으로 의회 의견에 맡기겠다”며 “의회 내부에서 논의되고 검토된 안에 대해서는 단서도 달지 않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