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9월 제막식 거행 예정
일제강점기 경제적 수탈에 맞서 인간의 존엄성과 생존권 수호를 위해 저항했던 제주해녀들의 항일정신을 기리기 위한 사업이 시작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해녀항일운동 주요 3인 흉상 제작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에 제작되는 해녀 흉상은 1931년부터 1932년까지 제주시 구좌읍 일대에서 230여 회의 시위에 연인원 1만7000여 명의 해녀들이 참여한 해녀항일운동의 대표였던 부춘화(당시 25세), 김옥련(23세), 부덕량(22세) 등이다.
제작사업은 7월부터 사업공모, 평가, 우선협상 대상자 선정 및 계약 절차를 거쳐 사업자를 선정해 추진한다. 오는 9월 도내 해녀들이 모인 가운데 해녀박물관 내 제주해녀항일운동기념탑 옆에 흉상을 설치하고 제막식을 거행할 예정이다.
흉상의 형태·제작기법·설치장소 등 중요 사안의 결정을 위해 유족대표, 해녀단체 및 해녀항일운동기념사업회 등이 참여하는 ‘제주해녀항일운동 흉상제작추진위원회(가칭)’를 구성해 주요 사안에 대해 자문을 구할 계획이다.
김창선 제주도 해양수산국장은 “일제의 경제적 수탈에 의연하게 맞섰던 제주해녀들의 기개와 그들만의 독특한 공동체 정신이 오늘날까지 이어져 제주해녀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라는 쾌거를 이룰 수 있었다”면서 “그간 묵묵하게 제주해녀항일운동의 뿌리찾기 활동을 이어온 제주해녀항일기념사업위원회 등 관련 단체들의 노고에 고마움을 표한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지난 2003년부터 2008년까지 관련 심사 등을 통해 당시 항일운동을 주도했던 주요 11명을 독립유공자로 추서해 혁우동맹 8인에게는 건국훈장 애족장을, 김옥련, 부춘화, 부덕량 등 해녀 3인에게는 건국포장을 수여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