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관광 부서 간 거버넌스 구축 필요”
“제주관광 부서 간 거버넌스 구축 필요”
  • 김종광 기자
  • 승인 2018.06.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숙영 경기대교수 ‘글로벌 관광과 제주의 미래’ 세션서 강조

“지속 가능성 확보위해 제주 먼저 칸막이 없애 협업 추구해야”

글로벌 시대에 제주관광의 국제화를 위해서는 새로운 변화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부서 간 협력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강숙영 경기대학교 교수는 26일 오전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13회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에서 제주국제협의회 주관으로 열린 ‘글로벌 관광과 제주의 미래’ 세션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강 교수는 이날 기조 발제를 통해 “웰빙, 로하스 등 건강지형 변화와 개별여행객의 증가로 관광트렌드가 변화하면서 제주 관광의 지속가능성이 위협받고 있다”며 “난개발에 따른 관광수용력의 한계로 질적관광으로 전환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또 “관광정책이나 전략을 짜고 대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유행이 아닌 10년 이상 우리 사회를 관통할 말한 메가트렌드를 기반으로 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강 교수는 제주 관광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주도 1년 예산이 4조원이 넘지만, 관광예산은 2%에 불과한 900억원”이라며 “제주가 관광으로 직접 창출하는 금액은 5조원이 넘는데 예산으로 따져보면 제주가 관광의 섬인지 의구심이 든다”고 말했다.

특히 “관광 계획과 정책을 세우는 행정파트가 있지만, 부처 간 협력이 잘 안 되고 있다”며 “중앙부처보다는 제주에서 먼저 칸막이를 없애서 협업과 공존이 가능한 ‘협력 거버넌스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일본의 경우 지난 2015년 총리실 산하에 ‘미래 일본을 지탱하는 관광비전 구상회의’를 발족해 관광의 미래를 위한 새로운 동력을 만들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남북화해 무드 조성에 힘입어 북한 시장이 개방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 시장이 개방되면 제주관광은 큰 위협에 처할 수 있다”며 “제주의 경우 크루즈가 있기 때문에 중국 텐진과 북한의 남포, 제주와 일본의 후쿠오카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강 교수는 해외 관광객을 유치하며 중국, 일본에 의존하는 관행에서 벗어나 세계적인 국제 관광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제주 관광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제주특별법 개정 등 제도 개선도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