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거티브 근절 차원 선거후 ‘유야무야’ 안돼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6·13 지방선거가 각 캠프 간 고발이 난무하면서 선거 이후 후유증이 거셀 전망이다.
특히 제주의 미래를 이끌 도지사 후보 간 ‘고발전’이 격화되면서, 이전투구 양상으로 번지고 있다. 문대림 더불어민주당 후보에게 제기된 ‘타미우스CC 명예회원권 논란’의 경우 원희룡 후보측이 ‘뇌물수수’ 혐의로 검찰에 고발하자, 문대림 측은 ‘무고죄’로 대응했다.
원희룡 무소속 후보를 둘러싼 ‘비오토피아 특혜 논란’의 경우 문 후보가 공개검증을 거부하면서, 선거가 끝난 이후 검찰 수사 등 사법적 판단으로 진위가 가려지게 됐다.
제주도지사 각 캠프에서 상대 후보 진영을 검찰과 선관위에 고발한 건만 10여건에 달한다. 이 판단은 선거가 끝난 이후 결과가 나오기 때문에 유권자 입장에서는 ‘진실을 외면한 묻지마 고발전’으로 비춰지고 있다.
네거티브로 이어지고 있는 선거가 끝난 후 도민의 알권리를 위해서라도 ‘도민 화합’을 명분으로 고발을 취하해선 안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공명선거를 위해서라도 정치권이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것이다.
문대림 후보측은 경선 과정에서 송악산 땅 투기 의혹을 제기한 같은당 김우남 예비후보 고유기 대변인을 공직선거법으로 검찰에 고발했다가, 경선 직후 ‘원팀을 만들어야 한다’는 이유로 고발을 취하했다.
고발로 이어지지 않더라도 제보에 의존하거나 사안을 본인에게 유리하게 해석해 상대 후보를 비방하는 경우도 많다. ‘아니면 말고식’ 의혹 제기를 하면서 유권자를 현혹하는 경우다.
민주당 제주도당은 5일 논평을 통해 “김동욱 자유한국당 도의원 후보가 자신의 대표 의정활동으로 외도중학교 설립 추진을 내세우며 보도자료와 현수막 등을 통해 ‘외도중학교 설립 예산 348억원을 확보했다’고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있지만, 확인 결과 사실이 아니다. 주민을 우롱하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선관위에서도 이러한 불공정선거에 대해 지속적인 감시와 빠른 조치에 임해달라”고 촉구했다.
이에 김동욱 후보는 “민주당은 올해 하반기 100억원 예산 확보가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지난해 말 예산심사에서 이미 통과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보는 관점에 따라 해석의 차이가 있다. 우리측도 교육청에 확인 작업을 거쳤다”고 말했다.
선관위 고발 여부에 대해서는 “고발 조치를 취하지 않겠지만, 선관위에 이의신청을 한 만큼, 문제가 있다면 선관위가 고발조치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지만 개운치 않는 뒷맛을 남긴다.
각 캠프 진영의 ‘공정 선거’ 감시 센터 운영이 오히려 가짜 뉴스와 흑색선전을 양상시키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정치권의 책임있는 자세가 요구된다.
이에 김동욱 후보는 “허위사실이 아니다. 이미 선관위에 자료를 모두 제출했고, 문제가 없다는 답변을 거쳤다. 제주도교육청에서도 확인 작업을 다 거쳤다”고 해명했다.
이 부분은 방금 선관위에 확인했습니다. 선관위에서는 이 문제에 대해 답변을 한적이 없다고 하는데 또 답변을 받았다라고 허위사실을 말하고 있군요ㅠ 정말 할말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