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대란은 모면...갈등의 불씨는 여전
쓰레기 대란은 모면...갈등의 불씨는 여전
  • 박민호 기자
  • 승인 2018.05.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봉개동쓰레기매립장 대한 사용기한이 31일 만료됐지만 주민들이 관련 논의를 지방선거 이후로 미루기로 하면서 우려했던 쓰레기 대란은 일어나지 않았다. 하지만 매립장 연장 사용이나, 공식 협상일자 등에 대해 구체적인 합의를 이루지 못하면서 갈등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있는 상황이다.

제주도는 이날 봉개동쓰레기매립장 추가 사용 등을 위해 주민대책위원회 등과 면담을 진행했다.

당초 주민들은 지난 28일 총회에서 봉개매립장 사용을 31일 중단하고, 1일부터 청소차량의 진입을 막으려고 했다. 하지만 이날 제주도 등과의 면담을 통해 매립장 봉쇄 등과 같은 물리적 행동은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현실적으로 대안이 없고, 지방선거 기간 쓰레기 대란이 올 경우 도민여론이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주민들은 악취저감 대책과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시설 보강과 마을발전 지원 계획을 수립해 줄 것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더불어 협상 주체를 제주시가 아닌 제주도가 맡아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제주도는 협상 주체로 나설 것을 약속하면서 지방선거기간에도 실무진 접촉을 통해 주민들에 대한 설득노력을 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봉개매립장은 1992년부터 쓰레기 매립을 시작, 그동안 세 차례 계약을 갱신해 지금까지 26년간 운영되고 있다. 2016년 제주시와 주민대책위는 구좌읍 동복광역매립장이 완공되는 올해 5월 31일까지만 사용한다는 협약을 맺은 바 있다.

하지만 당초 올해 6월 이었던 구좌읍 동복리 광역처리시설 준공(2019년 1월 예정)이 늦어지면서 봉개동 매립장 연장 사용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앞서 제주시는 지난해 3월 36억원을 투입, 2000년 매립을 종료한 1·2공구를 다시 파내 18만9800㎥의 추가 매립면적을 확보했다. 이에 따라 내년 상반기까지 4만3000t의 폐기물을 매립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된 상태다.

제주도 관계자는 “급한 불은 껐지만, 아직 아무것도 결정되진 않았다. 현재로선 (연장 사용 대안이 없기 때문에 주민들 요구대로 제주도가 주도적으로 협상에 나설 계획”이라며 “협약 당시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1년 연장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주민들에게 이 상황을 잘 설명하면서 연장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