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개발사업·인구증가 등 영향...재산세 등 늘듯
제주지역 땅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3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제주지역 평균 개별공시지가 상승률은 17.51%로 전국에서 최고를 기록했다.
개별공시지가가 전국 평균(6.28%)과 견줘 3배 가까이 오르면서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 등 도민들의 각종 세금 부담도 가중될 전망이다.
특히 제주지역 개별공시지가는 3년 연속 최고 상승률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2017년에는 19%, 2016년에는 27.77%의 상승률을 보였다. 상승 폭이 둔화되고 있지만 전국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은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올해 지역별로는 제주에 이어 부산(11%), 세종(9.06%), 대구(9.03%), 울산(8.54%), 광주(8.15%) 등의 순으로 공시지가 상승률이 높았다.
경기(3.99%), 대전(4.17%), 충남(4.33%), 인천(4.57%), 전북(5.52%) 등 7개 시·도는 전국 평균보다 낮게 상승했다.
도내 지역별로는 서귀포시가 18.71%, 제주시가 16.7% 각각 올랐다. 서귀포시의 경우 제주신화역사공원 개장, 헬스케어타운조성사업 및 영어교육도시개발사업 등 땅값 상승을 견인했다. 제주시는 탐라문화광장 완공, 개발사업에 따른 투자자금 유입과 인구 증가가 개별공시지가 상승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국토부는 설명했다.
공시가격은 각종 조세·부담금 부과, 건강보험료 산정 및 기초노령연금 수급대상자 결정, 공직자 재산등록 등 약 60여 종의 관련 분야에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도민들의 세금 등 부담이 늘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이번 개별공시지 결정에 이의가 있는 토지 소유자나 이해관계자는 오는 7월 2일까지 이의신청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