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제2공항 추진
文 “항공수요 재산정 실시” 金 “소통으로 갈등 해결 추진”
高 “전면 백지화” 元 “타당성 재검토 용역 통한 결론 도출”
최근 제주 제2공항 건설(신공항) 타당성 용역 업체가 정식계약을 앞두고 사업 철수 의사를 밝힌 가운데 지난 7일 국토부가 타당성 조사에 대한 재검토를 추진키로 하면서 일정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여전히 찬반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제주 제2공항 문제에 대해 지방선거에 출사표를 던진 제주도지사 후보들이 이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유권자들의 현명한 선택이 요구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문대림 후보는 공론화 조사위원회를 통한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놨다.
문 후보는 “이제는 일방적으로 결정, 통보, 시행하는 국책사업의 시대는 막을 내려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우선 중앙정부에 지금까지 진행된 제2공항 관련 계획을 일시 정지해 줄 것을 요청하고, 제주의 환경수용성을 고려하여 항공 수요 재검토를 실시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후 ‘공론화 조사위원회’ 구성을 통한 항공 수용력 확충 방안 마련, 분야별 해결위원회 구성 및 주민협의를 통한 피해 최소화 및 보상 방안 마련 등의 절차를 진행하겠다”며 “이를 통해 주민 의견을 수렴하고, 그 내용을 중앙정부와 협의하여 사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자유한국당 김방훈 후보는 주민들과의 소통을 강조했다. 김 후보는 “제2공항 건설에 따른 갈등해소도 시급히 해결하기 위해선 서로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한 현장성 있는 소통이 필요하다”면서 “문재인정부에서도 제주 제2공항 개항에 대한 지원을 하겠다는 대선공약이 있었으므로 제주도의 차원에서의 지원방안과 국가차원에서의 지원이 함께 보태져서 제2공항에 대한 갈등이 일방적인 해결이 아닌 소통을 통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토교통부의 사전타당성 재조사의 결과에 따른 정책 및 제주국제공항 관리권을 한국공항공단에서 제주공항공단 설립으로 제주도에 귀속하는 방안도 강구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녹색당 고은영 후보는 제2공항 전면 백지화를 주장했다.
고 후보는 “제2공항 건설은 사전 타당성조사의 객관성 부분 뿐 아니라 미래 관광객 수요에 대한 예측에서도 문제가 드러났다”면서 “현재 제주도가 보여주는 쓰레기, 오폐수, 교통체증, 지가 상승 등의 주요 문제들은 오버투어리즘의 대표적인 증상”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제주 제2공항 건설을 백지화하고 제주의 생태-자원 수용력에 대해 자연, 생활, 인문, 사회 환경 전반에 걸쳐 전면적인 진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무소속 원희룡 후보는 도민과의 충분한 논의를 통해 사업 진행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원 지사는 “현재 국토교통부에서 제2공항에 대한 입지타당성 재검토 용역을 재 발주했다. 조사 결과 심각한 오류가 있다면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고, 반대로 큰 문제가 드러나지 않고 의혹이 해소된다면 도민의 숙원사업인 만큼 정상 추진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추진이 된다면, 토지보상과 지역발전에 대한 실질적인 후속조치도 동시에 마련돼야 한다”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도민의 의견이다. 도민과 충분한 논의를 거쳐 추진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