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정상회담 후 남북 평화무드 상황 제주의 역할
제주매일은 6·13 지방선거가 20여일 앞으로 다가옴에 따라 지역 현안을 바라보는 제주도지사 출마자들의 인식과 유권자 알권리를 위해 제주지역 현안에 대한 이들의 입장을 들어본다.
제주도지사에 출마하는 후보자들은 남북정상회담에 이은 ‘4·27 판문점 선언’ 이후 평화 무드에 대해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들 대부분은 제주가 남북회담 장소 등을 통해 한반도 평화체제를 이루기 위한 남북교류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더불어민주당 문대림 후보는 “제주도가 통일의 문을 열고 화해와 협력의 장을 여는 데 선도적인 역할을 해나가야 한다”면서 “통일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촉발·지속할 수 있는 민간 교류와 경제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감귤보내기운동을 재개하고, 농수축산 식품가공산업 등의 협력사업과 북-남-제주를 잇는 평화크루즈 운항, 교류, 문화예술 교류, 남북공동학술탐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남북 교류를 활성화하겠다”고 전했다.
자유한국당 김방훈 후보 역시 제주특산물 보내기 등을 통해 제주가 남북한 교류의 가교 역할을 해야 한다고 했다.
김 후보는 “중간에 중단되기는 했지만 감귤보내기사업과 제주흑돈, 마늘 등 제주특산물을 보내는 것으로 남북 민간 교류의 가교역할을 해 왔다”며 “북한도 제주도에 대해서는 제주도민 초청 등을 통해 교류의 역사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 북한감귤보내기 재개와 한라산-백두산 교차관광 등으로 교류의 발판을 마련할 예정”이라며 “특히 ‘남북 고위급회담’ 등 남북회담 장소 유치 등을 통해 남북교류의 중심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녹색당 고은영 후보는 조금 다른 견해를 내놨다. 고 후보는 “휴전선에서 가장 멀리 있는 제주도 남방에 건설된 제주민군복합항에 대해 해군기지 기능은 없애고 민항으로 전환해야 한다”면서 “제주도를 완전한 비무장 평화의 섬으로 선언해 향후 동아시아 평화회담이나 협정을 맺기 위한 회담 요충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무소속 원희룡 후보는 “제가 도지사 취임 직후부터 꾸준하게 준비하고 노력했던 ‘남북교류협력 5+1 사업’을 활성화할 기회가 왔다”면서 “이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남북교류협력의 모멘텀을 만들겠다는 저의 의지가 담긴 것”이라고 설면했다.
그러면서 “제주는 남북 교류협력의 물꼬를 틔우는 선도적 지자체로서 한반도 평화의 길목이 돼야 한다‘며 ”사업을 반드시 성사시켜 제주가 한반도 평화 협력의 장이 되도록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바른미래당 장성철 후보는 “질문 주제들에 대해 정확한 입장을 확정하기에는 너무 이르다는 판단이며, 이에 대한 답변을 하게 되면 아주 짧은 기간에 구체적인 공약을 확정해야 하는 부담이 매우 크게 다가온다”면서 본지의 답변을 거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