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올해부터 의례 비용 일부 지원 방침
향토 문화자원 활용 위한 전수조사도 진행
향토 문화자원 활용 위한 전수조사도 진행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해녀들의 무사안녕을 기원하는 ‘해녀굿’의 전통문화 전승 방안을 마련한다고 7일 밝혔다.
매년 거행되는 해녀들의 무사안녕 기원 의례는 음력 1월 초부터 3월 초까지 두 달간 도내 30여 곳에서 어촌계 주관으로 행해지는데 영등굿, 잠수굿, 해신제, 수신제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올해 해녀굿은 지난 2월 20일 귀덕리를 시작으로 지난달 23일 김녕리 잠수굿을 마지막으로 도내 31개 어촌계에서 진행됐다.
제주해녀들은 과거부터 한 해 동안의 조업 중 무사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며 영등신과 용왕신에게 매년 의례를 거행해왔다. 그러나 그동안 사회의 현대화와 해녀의 고령화, 의례비용 상승 등의 문제로 점차 소멸돼 현재는 30여 개의 어촌계에서 명백을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제주도에서는 제주해녀들의 신앙문화가 전통문화로 계승될 수 있도록 올해부터 해녀굿 의례 비용의 일부를 지원하고 있다.
또 이번 해녀굿 기간 동안 해녀굿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한 해녀문화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어촌계별 해녀굿의 형태, 제의의 순서, 제물의 특징, 제의 장소, 참여 인원 등 해녀굿에 대한 전수 조사도 진행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는 앞으로 제주 해녀굿의 활성화 방안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라며 “제주해녀 전통문화 보존 전승 측면에서 조사내용을 세밀하게 분석해 제주해녀문화 정책에 반영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