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사 선거 ‘정책 실종’ 비방전 양상
제주지사 선거 ‘정책 실종’ 비방전 양상
  • 김진규 기자
  • 승인 2018.05.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영리병원·제2공항 등 굵직한 현안 함구…말꼬리 잡기식 네거티브 난무

유권자 선거 무관심 가중 우려…“정책 선거로 전환해야” 목소리 비등

6·13 전국동시 지방선거가 40일 앞으로 다가왔음에도 각 정당 제주도지사 예비후보들은 찬반 논란이 일고 있는 국내 1호 영리병원 개원 여부, 제주 제2공항 갈등 등 민감한 현안에 대한 정책 대결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 같은 제주 미래의 변곡점이 되는 현안 대결이 아닌, 말꼬리 잡기식 논평과 서로의 공약이나 약점을 물고 늘어지는 ‘네거티브’ 혈안으로 정책선거가 실종되면서 유권자로부터 정치혐오를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제주 4·3 특별법 개정안도 국회에서 표류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4·3 기간에만 성명이나 입장을 발표했을 뿐 현 시점에서는 이렇다 할 입장도 나오지 않고 있다.
 
최종 후보가 가려지면서 본격적인 선거 대결 구도가 형성됐음에도 이에 대한 현안 제시는 커녕, 경쟁 후보를 향한 비방전 양상이 짙어지고 있다.  

이번 선거에서 양강 구도를 보이고 있는 문대림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원희룡 무소속 후보는 ‘제주도 1인당 지역 내 총생산량(GRDP) 전국 최하위’를 논평을 두고 허위 공방을 벌이는가 하면 ‘아동학대 범죄 3년간 10배 증가’를 두고 “사실을 왜곡했다”고 다투고 있다.

제주에는 풀어야 햘 현안이 수두룩 하다. 제2공항과 영리병원 뿐만 아니라 제주 4·3의 완전한 해결, 난개발, 지하수 보존 등은 도민의 삶과 직결됐다. 지방선거를 정책선거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번 선거에서는 쟁점으로 부각된 제주도지사 후보에 대한 ‘도덕성 검증’도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도덕성 역시 제주도를 이끌 도백의 선택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선거 정책이 실종됐다는 지적을 받지 않으려면 도지사 후보의 역할이 중요하다. 실타래처럼 꼬여있는 제주 현안을 풀 수 있는 정책 대결이 필요한 이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