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경찰 외국인 강력사건 특별활동 돌입
제주에서 외국인 강력 범죄가 잇따르면서 도민사회가 불안감에 휩싸이고 있다. 최근 들어 외국인 범죄가 세력화·조직화 조짐이 있어 더욱 우려된다.
지난 22일 밤 10시 30분경 제주시 연동 소재 노래주점에서 발생한 중국인 간 흉기 살인 사건의 경우도 범행을 교사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흉기를 휘둘러 살해한 중국인 A씨(42)는 경찰 조사에서 “본인은 살해할 마음이 없었지만, 당시 범행에 동석했던 중국인 B씨(29)가 중국인 C씨(30)를 손봐 달라며 본인에게 흉기를 직접 건넸다”고 진술했다.
C씨는 복부와 허벅지 등을 수차례 찔려 사망했다. 외국인 범죄가 이처럼 잔혹한 것은 ‘외국으로 도주하면 그만’이라는 심리가 깔려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살인 교사자로 지목된 C씨가 범행 이튿날인 23일 새벽 제주공항에서 붙잡혔다.
이처럼 불법체류 중국인들 간 팀을 이루면서 알력 다툼으로 살인 등 강력 범죄로 이어지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발생하고 있다.
지난 3월 29일 밤 9시경 서귀포시 동문로타리 1호광장에서 불법체류 중국인 4명과 2명이 흉기와 둔기를 휘두르며 서로 간 상해를 입힌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이달 14일 밤 제주시 동문로터리에서 직업알선비를 주었음에도 약속을 지키지 않자 흉기로 협박한 불법체류 중국인 2명이 적발됐다.
2016년 전국을 떠들썩하게 했던 제주 성당 여신도 살인사건은 60대 중국인이 살인을 목적으로 제주에 입도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당초 일본에서 범행하려 했지만, 비자 발급이 여의치 않자 무비자 입국이 가능한 제주로 범행지를 변경했다. 이 때문에 당시 ‘무사증 폐지’ 청원 운동이 일기도 했다.
법무부는 제주에 1만1000여명(올해 1월 기준)의 불법체류 중국인이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단속이 이뤄지고 있지만,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일자리 잠식도 문제지만, 흉기 사용 등 범죄 위험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에 제주경찰은 이달 27일부터 외국인 강력사건 대응을 위한 특별활동을 추진한다. 특히 중국인들이 밀집해 있는 누웨모루거리(전 바오젠 거리) 등 4곳을 집중순찰 구역으로 선정해 야간 순찰을 강화하고, 외국인이 운영하거나 출입이 빈발한 업소에 대해서도 집중적인 점검을 병행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