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인력·시설물관리·메뉴얼 등 상하수도 운영 체계 전반에 대한 재정비에 나섰다.
제주특별자치도는 고(故) 부경욱 주무관 사망 사건을 계기로 하수펌프장 안전사고 재발 방지를 위해 조직·인원, 공사 및 사후 관리, 시설 유지관리 지침 제·개정 등 상하수도 업무 체계의 경영 혁신을 도모한다고 24일 밝혔다.
제주도는 앞으로 공공하수처리장 등 고도의 전문적 관리가 필요한 시설은 민간 전문업체에 관리 위탁하고, 모든 시설 공사 및 사후 관리는 ‘점검→확인→평가’ 등의 과정을 거친다.
현재 도내 상수도 시설은 정수장, 가압장, 배수지 등 313개소이며 하수 시설은 하수처리장, 중계펌프장, 간이펌프장 등 485개소다. 이는 타 광역시와 비교해 예산 규모, 관리 범위, 시설 등이 광범위한 것으로 상하수도본부 조직재진단을 통해 중·단기적으로 대응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우선 올해에는 민간전문업체에 위탁 타당성 용역을 실시한다. 또한 2019년에는 하수처리장 1개소, 중계펌프장 1개 지역을 시범 위탁해 그 결과를 바탕으로 2025년까지 8개 하수처리장을 위탁 운영할 계획이다. 더불어 장기적인 효율적 관리를 위해 지방환경공단 설립하는 방안도 신중하게 검토할 예정이다.
조직도 재편된다. 상수도 분야는 깨끗한 수돗물 공급을 위해 ‘수질관리과’를 신설하며, 하수도 분야는 관리 범위가 광범위한 제주와 서귀포 하수운영과의 조직 확대를 추진 중이다.
시설물 안전 관리 분야에서는 공사 및 사후 관리 3단계 시스템을 적용하며, 밀폐공간 등 위험시설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 나간다.
강창석 본부장은 “이달 내로 상하수도 시설 유지관리 메뉴얼을 재정비하고 설계, 착공, 감리, 준공, 사후관리까지 분야별 지침을 마련해 다음달부터 시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