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 야생동물구조센터
서식지 전남 화순군서 방사
서식지 전남 화순군서 방사

제주에서 구조된 천연기념물 제324호인 수리부엉이가 4개월간의 치료를 무사히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제주대학교 제주야생동물구조센터(센터장 이경갑)는 지난해 12월 중순 제주항 인근에서 화물차의 운전석과 화물칸 사이에 끼여 다리를 다친 수리부엉이를 구조해 고향 전남 화순으로 돌려보냈다고 23일 밝혔다.
해당 화물차는 전남 지역에서 물류를 싣고 출발하여 제주항을 통해 입도한 차량으로 야간 운행 중 비행하던 수리부엉이가 차량 사이 공간에 들어가 끼인 것으로 추정됐다.
약 12시간 이상 차량 틈새에 끼어 있던 수리부엉이는 구조 당시 기력이 없고 하반신이 부분 마비된 상태였다.
구조센터 의료진은 24시간 전담 관리사를 배치해 물리치료와 재활훈련 등 밀착관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수리부엉이는 지난 20일 고향인 전남 화순군 용게저수지 야산에서 자연의 품으로 돌아갔다.
수리부엉이는 항공편을 통해 제주공항에서 광주공항으로 이송된 뒤 방사 장소인 화순군까지 차량으로 이동했다. 구조센터 직원 2명이 동행했다.
센터 관계자는 “수리부엉이를 제주도에 방사할 경우 자연 부적응 및 생태계 교란의 우려가 있다고 판단돼 전남야생동물구조센터의 협조를 얻어 당초 서식지로 추정되는 전남지역으로 돌려보냈다”고 밝혔다.
한편 올빼미과에 속하는 대형 맹금류인 수리부엉이는 한반도 지역에 적은 수가 번식하는 텃새이나 제주 지역에서는 1980년 1개체가 채집된 이후 공식적인 관찰 및 채집 기록이 없는 실정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