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상 무소속 출마 선언 “1주일내 입장정리”

원희룡 제주도지사가 바른미래당과 결별을 선언, 6·13 지방선거에서 무소속 출마 결심을 굳혔다.
원 지사는 10일 오후 제주도청 기자실에서 ‘탈당 기자회견’을 통해 “오랜 고뇌 끝에 오늘 바른미래당을 떠난다. 제가 정치를 시작하면서 가졌던 개혁정치의 뜻을 현재의 정당 구조에서 실현하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며 “민생과 통합의 정치의 길로 매진하겠다”고 선언했다.
탈당 기자회견이지만 향후 선거 일정 등과 관련한 질문에 대해서는 즉답을 피했다. 원 지사는 “너무 앞서가는 질문이다. 출마의 변 등은 일주일 안에 입장을 정리하겠다”고 말했다.
야권연대 필요성에 대해서는 “현재는 여당이 일방적인 우위다. 소위 기울어진 운동장으로 표현되는 현 정치구도에서 대한민국이 균형 잡히고, 건강하게 운영되려면 야당이 건전하게 견제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여당은 높은 지지율을 받고 있는데 일방적 권력 무게가 한쪽으로 쏠릴 경우 대한민국 전체가 균형을 잃을 수 있다. 건전한 야당 견제축이 있어야 한다”면서도 “선거는 일부 경쟁이 불가피 하기 때문에 종합적인 야권연대의 한 파트에 불과하다. 지방선거만 염두해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바른미래당 지지율이 낮기 때문에 탈당한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유·불리로 따지면 거기서 거기”라면서 “여론조사는 민심과 국민들의 역동성, 국민들의 날카롭고 깊은 판단력을 다 담아내는 판단 근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다만 추세의 방향을 볼 수 있는 참고 자료 정도로 본다”고 답했다.
원 지사의 정치적 거취가 분명해 짐에 따라 ‘보수세력 재편’ 여부도 관심이 모인다.
민주당 지지율이 워낙 높다 보니, 국회의원 전석에 이어 도지사 자리까지 내줄 수 있다는 위기감이 보수 정치권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10대 제주도의회에서 전반기 의장을 역임했던 구성지 의원이 자유한국당을 탈당하며 “원 지사를 새로운 보수의 중심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바른미래당 제주도당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원 지사의 탈당은 어떤 변명을 하더라도 지방선거에서의 유·불리를 계산한 기회주의·철새 정치일 뿐”이라며 “더 이상 개혁정치·보수혁신을 주장할 자격이 없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