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과후 돌봄 공백 메우라고 특교예산 보냈더니…
방과후 돌봄 공백 메우라고 특교예산 보냈더니…
  • 문정임 기자
  • 승인 2018.04.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도교육청, 돌봄·방과후 떨어진 아이들 많은 동지역 두고
외곽지 중심으로 ‘방과후 마을학교’ 7곳 선정해 3일 발표
사업공고에서부터 ‘돌봄’보단 ‘방과후 학교밖 운영’에 무게 논란

교육부가 초등돌봄교실의 공백을 메우라고 특교예산을 내려 보냈더니, 제주도교육청은 돌봄교실이 부족한 시내권 대신 외곽지역을 중심으로 ‘방과후 마을학교’ 운영기관을 선정한 것으로 확인됐다.

도교육청은 “응모하고 보니 대부분 읍면지역에 거점을 두고 있어 어쩔 수 없다” 입장인데, 도교육청이 사업공고에서부터 이번 사업의 취지를 분명하게 명시하지 않아 벌어진 일이라는 지적이다.

교육부는 최근 문재인 정부의 ‘온종일돌봄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방과후 돌봄 활성화 지원사업’을 공모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현행 초등 돌봄교실의 공백이 발생하는 부분에 돌봄 서비스를 확대해 맞벌이 부부의 부담을 덜고 사회적 돌봄 체계의 기반을 마련해나가는데 있다.

하지만 도교육청이 3일 발표한 ‘방과후 마을학교’ 선정 단체 7곳 중 상당수는 읍면 지역에 소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지난 2월 도교육청이 학교별 초등 1~2학년 돌봄교실 1차 수요조사 결과를 수합한 결과 4610명 정원에 4889명이 신청해 279명이 탈락한 것으로 집계됐었다. 대부분 이도, 아라, 한라초 등 학생 수가 많은 제주시내 과대학교들이다.

때문에 상식적으로라면 이번 사업은 돌봄교실 탈락자가 많은 제주시내 과대학교를 중심으로 추진됐어야 했지만 도교육청이 도 전역으로 모집 범위를 설정하면서 결국 선정 단체의 상당수가 돌봄교실의 혜택을 받고 있는 읍면지역에 돌아가도록 방기한 셈이 됐다.

특히 도교육청은 공고 시 사업 취지를 ‘교육경험의 장소를 학교 밖으로 확장’한다는 내용만 기재함으로써, 7개 선정기관 중 돌봄 기능을 포함하는 계획서를 제출한 단체는 단 1곳뿐이게 됐다.

교육부 관계자는 “사업 내용은 지역 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면서도 “이번 사업의 방향은 돌봄 공백 보완과, 지자체 및 지역 대학, 지역단체 등 학교 안팎이 돌봄 체계를 만들어가는데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우리는 돌봄에 국한하기보다, 마을과 함께 아이들을 돌본다는 취지로 이번 사업을 생각했다”며 “공모를 받아보니 대부분 읍면지역이라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고 답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