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폐비닐 등 재활용품 수거 “이상무”
제주 폐비닐 등 재활용품 수거 “이상무”
  • 김종광 기자
  • 승인 2018.04.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도권과 달리 행정시 직접 재활용업체 이송
수거 비닐 정제유로 제조 사용…中수출 무관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 폐비닐·폐스티로폼 등에 대해 재활용 업체의 수거 거부와 종량제 봉투 배출 요구로 인한 ‘쓰레기 대란’이 가까스로 봉합된 가운데 제주지역의 경우 행정시에서 직접 수거해 큰 혼란은 발생하지 않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수도권과 달리 제주지역은 행정시에서 폐비닐류 등 재활용품을 직접 수거해 재활용업체로 이송하고 있어 ‘수거 혼란’은 없다고 2일 밝혔다.

앞서 환경부는 지난달 30일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긴급공문을 발송해 현장조사와 실적을 제출토록 했으며, 관계 법령에 의한 재활용 가능 자원인 폐비닐을 종량제봉투로 배출되지 않도록 관리에 철저를 기하고 있다.

제주지역의 폐비닐류 배출 및 수거량은 요일별 배출제 실시 이후 2016년 1일 평균 4.5t에서 지난해 10.4t으로 130%나 증가했지만, 현재까지 큰 혼란 없이 처리되고 있다.

수거된 폐비닐류와 스티로폼은 제주시 한림읍의 재활용업체로 이송해 정제유를 만드는 데 사용되고 있으나, 판매처 확보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제주도는 자원화된 정제유가 도내에서 쓰일 수 있도록 도내 아스콘 공장 등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관급공사는 정제유를 사용해 생산된 아스콘을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제도를 정비할 계획이다.

또 유류를 다량으로 사용하는 한전 등과도 협의해 도내에서 생산되는 정제유를 최대한 많이 사용할 수 있도록 논의해 나갈 계획이다.

김양보 제주도 환경보전국장은 “수도권 재활용업체는 중국의 폐자원 수입금지 조치로 인해 수거를 거부했다”며 “제주의 경우 도내에서 재활용되고 있어 중국 수출과는 상관이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도권 등 육지부의 경우 개인 업체와 연결돼 재활용품 가격에 따라 유동적으로 수거 문제 등이 발생하고 있다”면서 “제주는 행정에서 재활용품을 수집하고 선별과정을 거쳐 도내 재활용업체에 매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환경부는 이날 폐비닐·폐스티로폼 등 수거 거부를 통보한 재활용업체들과 협의한 결과 48개 업체 모두가 폐비닐 등을 정상 수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