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부실’ 오라단지 자본검증 협조 의지있나
‘자료 부실’ 오라단지 자본검증 협조 의지있나
  • 박민호 기자
  • 승인 2018.04.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道 30일 오라단지개발사업 자본검증위 회의
자금조달 계획 등 제출자료 ‘부실’ 재차 요구

제주오라관광단지 조성사업에 대한 자본검증이 차질을 빚고 있다. 이 사업에는 당초 5조2000억원이 투자될 예정이었는데, 사업자측이 전체 투자금액의 절반 가까운 2조3000억원(44.6%)을 장기차관 형태로 투자하겠다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자원조달 계획 등이 부실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자본검증에 협조 의지가 없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제주도는 지난달 30일 제주도청 청정마루에서 ‘오라관광단지 개발사업 자본검증위원회’ 3차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 자본검증위는 오라관광단지 사업의 투자계획 중 외국인직접투자(FDI) 및 부동산 분양 수입 등의 계획이 구체적이지 않다는 문제를 제기했다.

사업자인 JCC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전체 투자액 중 3조3733억원(64.6%)은 외국인직접투자 방식으로, 1조8447억원(35.4%)은 부동산 분양수입의 재투자 방식으로 투자된다.

문제는 외국인직접투자 금액 중 1조원 가량(20%)은 자기자본으로 투자하고, 나머지 2조3000억원 가량(44.6%)은 장기차관(공적기관 등으로부터 자본을 빌려오는 방식) 형태로 투자하겠다고 밝히면서 논란이 됐다.

자본검증위는 자기자본 및 FDI 관련 계획 등이 변경된 이유와 차관 투자액의 구체적인 조달방안과 투자액을 빌려오는 데 따른 부채 조달계획과 2017년도 재무제표 등 추가 자료를 제출할 것을 주문했다. 또 사업자측이 제시한 1조8447억원의 부동산 분양수익을 최근 부동산 시세를 고려해 산출할 것도 요구했다.

이와 함께 JCC의 모기업인 하오싱인베스트먼트사와 하륭그룹과 관련해서는 확실한 사업추진 의사를 보증할 수 있도록 ‘JCC의 해외사업에 대한 모그룹차원의 확약(보증)’과 ‘하오싱 등 모그룹의 해외투자사례’에 대한 자료도 함께 요구했다.

자본검증위는 상업시설 입주에 따른 지역상권 피해에 대한 보상방안, 개발이익에 대한 구체적인 배분 방안, 환경피해 관련 보완·보전방안 등 지역 상생방안을 구체적으로 계획해 제출할 것을 주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