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계승 위한 범국민대회

4·3 민중항쟁 70주년 범국민대회 참가자 일동이 4·3 학살에 대한 실질적인 책임은 미국에 있다며 이에 대한 사과와 진실규명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제주4·3 제70주년 범국민위원회와 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민주노총은 31일 제주시청 정문 앞에서 ‘제주4·3민중항쟁 70주년 정신계승을 위한 범국민대회’를 열어 “미군정은 해방 직후 한방도 38선 이남에 존재한 실질적 통치기구”라며 “미군정은 제주도를 ‘사상이 불순한 빨갱이 섬’으로 매도해 제주사람을 탄압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1948년 4·3 직후 미군정은 브라운 대령을 제주지구 미군사령관으로 파견해 제주 현지의 모든 진압작전을 지휘·통솔했다”며 “브라운 대령은 4·3 당시 ‘원인엔 흥미가 없다. 나의 사명은 진압뿐’이라며 강경 진압책을 지휘했다. 이는 미군정이 4·3학살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했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라고 했다.
참가자들은 “미군 보고서에는 1948년 11월부터 제주섬에 대한 초토화 작전을 통해 민간인들을 무자비하게 학살한 국방경비대 제9연대의 강경진압을 ‘성공적인 작전’으로 평가했다”며 “미군정은 이 작전이 진행되는 동안 정찰기를 동원했을 뿐만 아니라 토벌대의 무기와 장비도 적극 지원했다. 미군정이 4·3학살의 책임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진정 평화와 인권을 소중히 여기고, 미래로 나아가고자 한다면 지금이라도 4.3 학살에 책임성에 성실히 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참가자들은 4·3 70주년 10대 과제로 △정부차원의 추가 진상조사 △희생자 유족에 대한 배보상 제도화 △수형인에 대한 진상규명과 명예회복 법제화 △유적지 보전 구체화 △행방불명인 유해발굴 사업 정상화 △트라우마 치유사업 추진 △왜곡방지 및 명예훼손 처벌법 규정 마련 △미군정이 잘못에 대한 미국정부의 사과와 국제적 해결 △정명찾기 등을 선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