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가 오는 2030년까지 전기차 37만대 보급을 위한 전기차 중장기 계획을 수정·발표했다. 제주도는 수정 계획을 통해 40%(14만7000대) 달성 실현 시기를 당초 2020년에서 2022년으로 2년 연장했지만 현재 1만대 수준인 전기자동차를 5년(2018년도 포함) 내 14만대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건 실현가능성이 희박해 보인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제주도는 2015년 9월 전국 최초로 수립한 전기차 중장기(2015~2030) 종합계획을 정부 계획과 연계성 강화, 환경변화 등을 반영한 수정계획을 확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계획에 따라 오는 2030년까지 도내 운행차량 37만7000대를 전기차로 대체하는 것은 당초 종합계획대로 유지한다. 다만 40%(14만7000대) 달성시기를 2020년에서 2022년으로 조정하고, 내연기관 차량말소를 전제로 한 보급사업 추진 및 차량 공유사용을 활성화 하고, 전기이륜차 보급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제주도는 이 계획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향후 5년간 총 1조 6783억원의 재정투자계획도 제시했다. 현재(3월2일) 도내 보급된 전기차는 모두 1만006대, 40%달성 시기까지 최대 5년간 13만7000대를 추가로 보급해야 한다. 최근에는 300km 이상 운행 가능한 고성능 전기차가 속속 출시되면서 주행거리로 인한 피로감은 많이 줄어든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줄어든 보조금과, 높은 가격은 구매를 망설이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실제 최근 출시되는 전기차량인 경우 대부분 4000만원 중 후반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정부·지자체 보조금을 지원받더라도 소비자 부담액은 3000만원을 훌쩍 넘는다. 충전, 정비, 향후 중고차 가격까지 생각해야 하는 소비자 입장에선 선 듯 내놓기 어려운 금액이다.
보조금도 매년 줄어들고 있다. 지난해 2000만원이던 정부·지자체 보조금은 올해 1800만원으로 줄었고, 오는 2022년 600만원 등 해마다 감소될 예정이다.
올해 민간에 보급예정인 전기차는 3596대지만 지난해 이월(316대) 물량까지 포함하면 3912대다. 그러나 현재까지 접수(자격부여)된 차량은 265대 수준에 불과하고 올해 출고된 차량은 단 1대도 없는 상태다.
제주도 관계자는 “올 하반기 신형 차량이 출시를 기다리는 대기자들 때문에 올 초 보급이 지지부진한 것 같다”며 “향후 성능이 향상된 전기차가 출시된다면, 보조금을 덜 받더라도 구매 수요는 분명 있을 것으로 본다. 전기차 보급계획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