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희정 전 충남지사의 성폭행 의혹이 폭로되는 등 미투(me too·나도 당했다) 운동이 정치권을 강타한 가운데, 제주 정가에도 확산되고 있다.
6·13 지방선거가 90여일 앞으로 다가온 만큼 정치권에서는 미투운동의 파장이 어디까지 미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안희정 충남지사가 자신의 수행비서를 성폭행했다는 의혹이 나오자 더불어민주당이 안 지사에 대한 출당 및 제명 조치에 착수하자,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도 성명을 내고 사과했다.
민주당 제주도당은“이번 사건을 계기로 그릇된 성문화를 바꿔나가기 위한 노력에 앞장서고, 도당에 성평등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상시적 성평등 교육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공직선거 후보자들에게 의무적으로 이수하도록 한 성 평등 교육을 모든 예비후보들과 당직자들에게 반드시 이수하도록 확대하겠다”고 했다.
바른미래당 제주도당은 8일 논평을 내고 “안희정 전 충남도지사의 비서 성폭력 사건은 너무나 큰 충격을 줬다. 제주의 경우도 대학 현직 교수의 성추행 사건에 대해 검찰 송치가 이뤄졌다. 조직내의 성폭력 사건은 불평등한 권력관계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가장 특징”이라고 했다.
도당은 바른미래당 김삼화, 오신환, 채이배 의원 등이 발의한 ‘미투응원법’이 국회 통과를 위한 대도민 서명운동을 벌이겠다는 방안이다.
미투응원법은 권력형 성폭력범죄가 발생했을 경우 공소시효를 연장하고 소멸시효를 연장·정지하는 내용이 주요 골자다.
성폭력 피해자의 2차 피해 및 재발을 방지하고, 조직 내 성희롱 등 피해신고자의 보호를 위한 내용을 담고 있다.
도당은 “제주도에서 3월안으로 3회에 걸쳐 ‘미투응원법 국회통과를 위한 대도민 서명 운동’을 벌이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