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렌터카·전세버스 적정 대수 초과”
“도내 렌터카·전세버스 적정 대수 초과”
  • 김종광 기자
  • 승인 2018.03.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대 산학협력단 연구용역 결과 2일 발표
제주 총 39만 6000대 적정…자가용은 여유

제주지역 차량 적정대수가 39만6000대인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도내 렌터카와 전세버스가 적정대수를 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내년부터 제주의 교통 혼잡문제가 본격 확산 될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일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연구책임 황경수 교수)에서 지난해 3월부터 올해 2월까지 수행한 ‘차량증가에 따른 수용 능력 분석 및 수급관리 법제화’ 용역 결과를 발표했다.

용역 결과 차량 적정대수는 총 39만6000대로, 차종별로는 자가용 36만대(제주시 25만대, 서귀포시 11만대), 렌터카 2만5000대, 전세버스 1600대, 택시 5400대, 화물차 4000대(택시와 화물차는 수급관리대상 제외)다.

지난해 차량대수와 비교해 보면 자가용이 적정대수보다 10만8926대 여유가 있는 반면, 렌터카는 7053대, 전세버스는 595대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 혼잡의 주원인은 승용차 등 개인교통수단 위주의 통행패턴인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2015년 제주도 교통수단별 분담률은 대중교통 12.1%, 승용차 46.9%로 육지부 도시교통패턴과 달리 승용차 이용률이 전국 최고 수준이며, 또한 관광객의 62.5%가 렌터카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민과 관광객의 자가용이나 렌터카 등 개인 교통수단 위주의 통행이 주요 도로의 지·정체를 가중시키고 있는 요인으로 지적됐다.

제주시의 경우 4차로 이상 도로의 평균 통행속도가 20km/h 이하(서비스 수준 D)로 감소되는 2019년 이후 교통 혼잡문제가 본격 확산될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혼잡비는 지난해 4285억원에서 2025년 6561억원으로 53% 증가, 승용차는 지난해 22만대에서 2025년 47만4000대로 115% 증가, 렌터카는 지난해 2만9583대에서 2025년 5만1051대로 72% 증가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교통수요관리 방안으로 1단계로 도내 전 지역 차고지증명제를 시행하고, 2단계로 중앙차로 추가 확대 등 대중교통우선정책을 확대 시행하며, 3단계에서는 가용 가능한 모든 교통수요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교통수요관리 방안으로 부제운행 등 승용차의 수요조절, 교통유발부담금, 주차유료화 및 도심지역 주차요금 차등화, 렌터카·전세버스 수급관리, 렌터카 차고지 외곽이전, 외곽환승센터 설치, 신교통시스템 도입 검토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승용차 부제운영 등 수급조절 시행시기는 도심 내 평균 통행속도가 20km/h 이하로 감소되는 2019년 이후로 예측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