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돈업계에 ‘무릎 꿇은’ 제주도
양돈업계에 ‘무릎 꿇은’ 제주도
  • 박민호 기자
  • 승인 2018.02.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악취관리지역 지정 또다시 연기…‘차질없이 진행’ 호언 무색

조직적 반발에 물러서 향후 일정도 미지수…행정 불신 자초

제주도가 28일로 예정된 악취관리지역 지정을 또 다시 연기됐다. 양돈업계의 조직적인 반발을 수용한 것인데, 제주도는 향후 악취관리지정 일정조차 잠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행정의 불신을 자초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앞서 제주도는 지난달 말 악취관리지역 지정을 고시할 예정이었지만, 양돈업계가 제출한 의견에 대한 답변서 제출을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며 한차례 연기한 바 있다. 지난 19일 김양보 제주도환경보전국장은 “답변서 제출이 마무리 단계에 있으며, 이달 말(28일) 악취관리지역 지정 고시가 차질 없이 진행될 것”이라고 호언한 바 있다.

제주도는 지난 1월 5일 도내 101곳의 양돈장에 대한 악취검사를 실시, 위반사항이 적발된 96개 양돈장을 ‘악취관리지역 지정’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후 지역별 순회 설명회와 의견수렴을 거쳐 1월말 지정·고시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이후 ‘생존권’을 앞세운 도내·외 양돈업계의 조직적인 반대가 시작됐고, 결국 제주도가 이들의 주장을 수용하면서 악취관리지역 지정은 무기한 연기된 상태다.

제주도 관계자는 “한돈협회 등에서 제기한 사항들에 대해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하기 때문에 연기를 결정했다”며 “아직 지정을 위한 일정은 잡지 않은 상태라 악취관리지정이 언제쯤 될지는 현재로선 대답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양돈업계는 그동안 제주도의 검사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제기해 왔다. 악취검사에 사용되는 ‘관능(코로 냄새를 맡는)검사’가 주관적일 수 있고, 그 결과 조사 대상 양돈장 대부분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결과가 나왔다는 것이다.

제주도가 악취관리지역 지정을 무기한 연기하면서 양돈업계는 일단 안도하는 분위기다. 업계 관계자는 “이 문제는 양돈 업계만의 문제가 아니라 양돈산업 전체에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다”면서 “양돈업계를 바라보는 도민들의 불신을 우리도 잘 알고 있다. 향후 제주도와 함께 악취저감을 위한 자구책을 마련 도민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