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가 출·퇴근길 급행버스 이용편의를 높이기 위해 정차 정류소를 확대 운영키로했다.
제주도는 26일 하루 이용객이 많은 정류소와 학교를 중심으로 급행버스가 추가 정차할 수 있도록 27일부터 정류소를 추가하고, 노선번호에 ‘-’ 번호를 없애 세 자리로 단화한다고 밝혔다.
우선 동일주 노선인 101번 급행버스의 경우 이용객이 많은 천수동(1034명/일)과 화북남문(1134명/일), 삼양초·삼양동주민센터(830명/일), 구좌읍 월정리(111명/일) 정류소가 추가됐다. 101번은 학생들의 통학 편의도 제공하기 위해 오현중·고등학교에서도 정차하기로 했다.
또 서일주 노선(102번)은 외도초등학교(240명/일)를 비롯해 애월고와 한림고, 대정고, 중문고등학교 정류소에서 추가 정차한다.
제주시청-아라동 구간을 경유하는 112번, 122번, 132번, 181번, 182번 노선은 법원(1151명/일)과 중앙여고(1226명/일), 제주여자중·고등학교(1333명/일) 정류소가 추가됐다.
평화로와 5.16 도로를 연결하는 181번, 182번 노선은 앞으로 서귀포산업과학고(117명/일)와 중문고등학교(181명/일) 정류소에서도 정차한다.
제주도는 일부 급행버스의 경우 정시성 확보를 위해 버스 시간표도 함께 변경하기로 했다. 변경되는 시간표는 제주도청 버스정보시스템 홈페이지(http://bus.jeju.go.kr)와 제주버스정보 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급행버스의 정류소 추가 정차는 시외지역 등·하교 학생과 출·퇴근 이용객의 편의를 돕기 위한 것으로, 간선버스에 집중되고 있는 이용객의 분산 효과도 기대되고 있다.
급행버스는 제주시·서귀포시 터미널과 제주공항을 중심으로 주요 읍면지역만을 연결하는 노선이다.
주요 환승지점과 거점만 정차하고 요금도 일반 간·지선 버스의 단일요금제와 차별화해 거리비례요금제로 운영되고 있다.
앞서 제주도는 급행버스 이용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 12월 30일 요금인하를 단행했고, 이번 정류소 추가와 함께 노선번호도 ‘-’를 없애 이날부터 세자리로 단순화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