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에 국가어업지도선 전용부두가 확충되고, 경제성 부족으로 난항을 겪어왔던 한림항 2단계 사업도 추진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서귀포·한림·성산포항 등 도내 주요 항만시설의 개발 수요 재검토와 항만 개발에 따른 이용자 의견 등을 수렴한 개발계획을 수립, 해양수산부에 항만기본계획 변경을 요청했다고 22일 밝혔다.
제주도에 따르면 내년까지 제주항에는 해양수산부 소속 어업지도선 12척이 배치될 예정이지만, 전용부두가 없어 어업지도선 운영에 큰 불편을 겪고 있다.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제주도는 제주항 내항에 신규 어업지도선 전용부두를 확충하는 개발계획을 마련, 제주항 항만기본계획 변경을 요청했다.
이에 따라 올해 내 항만기본계획 변경과 설계를 추진하고, 이르면 내년부터 본격 착공할 예정이다.
무역항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서귀포항 내 시설 보강도 추진된다.
제주도는 상항구에 대형선박 취항이 가능하도록 접안시설(1만t)과 외곽시설(468m)을 개발하고, 어항구에는 돌제(50m)와 부잔교 3기를 설치해 1만t급 대형 선박이 입·출항이 가능토록 할 계획이다.
그동안 경제성 부족으로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던 한림항은 항망 건설사업비 절감을 위해 북방파제 연장 계획인 변경(450m→120m)되고, 항 내측으로 5000t급 잡화부두를 신설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올 상반기 내로 항만기본계획 변경을 완료, 하반기에 기획재정부에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할 예정이다.
성산포항에 대해서도 제주도는 기존 계획이 어업 피해 관련 민원과 선박 운항에 따른 불편 등이 제기됨에 따라 외곽시설의 평면배치계획 재조정과 기존 접안시설 추가 연장 등의 내용을 포함한 개발계획을 수립, 항만기본계획 변경을 요청을 요청해놓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급변하고 있는 제주지역 항만 여건을 선제적으로 반영, 기본계획 변경을 요청한 것”이라며 “빠른 시일 내에 해양수산부의 항만기본계획에 반영시키기 위해 적극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