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수 수질 회복 수십년 그 이상 걸릴 수도

축산분뇨 불법 배출로 오염된 제주 지하수가 우려보다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다. 제주도가 가축분뇨 유입흔적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된 토양 조사에서 심도 21m 구간에서도 오염이 확인되는 등 유출범위가 광범위하게 퍼져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제주도는 지난해 8월부터 12월까지 가축분뇨 무단배출로 논란이 된 한림읍 상명리 인근의 지하수 관정 14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9곳의 관정이 오염됐다고 19일 밝혔다.해당 관정들의 질산성질소 농도는 환경정책기본법상 지하수 환경기준(10mg/L이하)을 초과했다.
제주도는 질산성질소 농도가 생활용수 수질기준인 20mg/L를 초과한 관정 2곳에서 양수·배출 시험을 한 결과, 초기에는 수질이 개선되다가 양수·배출을 중단하면 다시 오염농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하수 오염범위 및 대수층별 수질오염 현황 등을 파악하기 위해 가축분뇨 무단배출 하류 약 200m 지점의 땅을 뚫어 조사과정에서 회수된 시추코어(심도 21m 구간)에서도 가축분뇨 유입 흔적이 확인돼 당초 우려보다 유출범위가 광범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까지 조사결과를 종합해보면 지층에 쌓인 가축분뇨가 빗물과 함께 지층이나 지하수 관정관정의 케이싱 외벽을 따라 심부 지하수로까지 유입되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자연정화에 의한 수질회복에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김양보 도환경보전국장은 “일단 오염된 지하수를 단기간 내에 인위적으로 개선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면서 “수질이 오염된 지하수 회복에 수 십년 혹은 그 이상이 걸릴 것으로 추정된다. 추가 오염을 막기 위해 예비비 등을 투입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도는 이달 중 악취 민원이 많은 양돈농가들을 악취관리지역을 지정하는 한편 2022년까지 지하수 수질전용 관측공을 도 전역에 설치해 수질을 감시할 계획이다.